"올해 美고용축소 절반은 이민감소 탓…급격한 고용침체 없을듯"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2개 전체 기사: 11개
수집 시간: 2025-10-24 09:16:1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0개

연합뉴스 2025-10-24 06:00:12 oid: 001, aid: 0015698069
기사 본문

한은 "미국 노동시장 전반적 수급 상황 아직 양호" 미 LA에서 불법이민 단속에 항의하는 시위대와 이를 막아선 주방위군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8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도심의 연방 구금시설인 '메트로폴리탄 디텐션 센터'(Metropolitan Detention Center) 앞에서 주방위군이 시위대와 대치하고 있다. 시위대는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대대적인 불법 이민자 단속에 반발하는 시위를 사흘째 벌이고 있다. 2025.6.9 mina@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최근 미국에서 위축된 고용의 약 절반은 제한 정책 등에 따른 이민 감소 때문으로, 미국 고용시장이 심각하게 침체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미국유럽경제팀이 24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 노동시장 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취업자 수 증가 규모(전월 대비)는 2024년 월평균 16만8천명에서 올해 1분기 11...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4 08:08:37 oid: 008, aid: 0005267549
기사 본문

한은 미국유럽경제팀 분석 "미국 고용 둔화 원인, 수요 감소 보다는 공급 제약"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18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금리 정책에 관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FOMC) 성명서 발표 후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최근 미국 고용 둔화 원인의 절반 가까이는 이민 감소에 따른 노동 공급축소에 있다는 한국은행 분석 결과가 나왔다. 관세정책에 따른 노동수요 약화보다 공급 제약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한은은 향후 미국 노동시장의 급격한 둔화 흐름이 완화되면서 실업률 상승 속도가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24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재 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를 통해 "올해 미국 전체 고용감소의 45%는 이민 감소 등 노동공급 제약 영향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밖에 관세정책과 연방공무원 감축 등도 고용 감소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한은 미국유럽경제팀의 정희완 과장과 이나영 조사역, 이승민...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24 08:52:10 oid: 028, aid: 0002772614
기사 본문

한은 미국유럽경제팀 보고서 이민단속으로 체포됐던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이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서 나와 버스에 탑승해 손 들어 인사하고 있다. 포크스턴/연합뉴스 최근 미국 고용 시장 위축의 절반 가량은 이민 제한 정책 영향이며 고용 시장이 심각하게 침체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미국유럽경제팀이 24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 노동시장 상황평가’ 보고서를 보면, 미국의 비농업 취업자 수 증가 규모(전월 대비)는 2024년 월평균 16만8천명에서 올해 1분기 11만1천명으로, 5∼8월 중 2만7천명으로 급감하는 추세다. 이런 고용 지표 악화를 놓고 기업의 노동 수요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라는 ‘수요 둔화론’과 이민 감소 등 공급 감소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엇갈리고 있다. 근본적 수요 부족 문제로 보는 쪽은 앞으로 미국 노동시장 상황이 빠르게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공급 제약론’은 견조한...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24 06:04:14 oid: 011, aid: 0004547155
기사 본문

■한은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 보고서 고용지표 둔화 원인 45%가 공급 요인 제롬 파월 미 연방준베지도 의장. AP연합뉴스 [서울경제] 최근 미국 고용지표 둔화의 주된 원인이 트럼프 정부의 이민 제한 정책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노동 공급이 추가적으로 줄어들 가능성은 낮아 급격한 고용 침체 우려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은 24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에서 “올해 전체 고용감소의 절반 가까이는 이민 감소에 따른 노동 공급축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는 작년 한 해 월평균 16만 8000명 늘었으나 올해 1분기 중 증가 규모가 11만1000명으로 둔화했고 5~8월 중에는 2만 7000명으로 축소했다. 이러한 고용 감소의 45%가량은 추세적 이민 감소와 이민제한 정책으로 나타난 노동공급 축소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일자리가 없어 고용지표가...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0-24 09:57:08 oid: 079, aid: 0004078579
기사 본문

"올해 美고용축소 절반은 이민감소 따른 노동공급 축소 때문" "이민 노동력 추가적 급감 가능성 작아"…한은 보고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의 노동시장 상황이 급격히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미국의 전반적인 노동시장 수급 상황은 양호하며 급격한 고용침체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은행 미국유럽경제팀이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 노동시장 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취업자 수 증가 규모(전월 대비)는 지난해 월평균 16만8천명에서 올해 1분기 11만1천명 등으로 크게 줄고 있다. 한은 분석 결과, 올해 미국 전체 고용 감소의 45%는 이민 감소에 따른 노동 공급 축소에 따른 것으로 추정됐다. 이민 위축은 추세적 감소에 더해 미국 정부의 이민 제한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분석 결과는 최근 고용 둔화에 이민 감소가 가장...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4 06:01:16 oid: 018, aid: 0006145572
기사 본문

한국은행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 보고서 이민 감소가 45% 차지…노동 공급 축소 핵심 관세 정책 40%, 공무원 감축 8% 차지 실업률, 내년 상반기까지 완만하게 상승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올해 미국 고용 감소의 절반가량이 트럼프 정부의 이민 제한 정책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와 연방공무원 감축도 일부 영향을 주었지만, 핵심 원인은 ‘이민 감소’다. 다만, 앞으로 추가적으로 이민이 더 줄어들 가능성은 낮아, 급격한 고용 침체 우려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AFP 이민 감소가 절반, 관세와 공무원 감축도 한몫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現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월평균 16만 8000명이던 미국 비농업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2025년 1분기 11만 1000명으로 줄었고, 5~8월에는 2만 7000명 증가에 그쳤다. 고용 하방 리스크에 대응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달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0-24 09:14:11 oid: 366, aid: 0001117040
기사 본문

최근 미국 고용 감소의 주된 원인이 이민 감소에 있다고 한국은행이 분석했다. 한은은 앞으로 이민이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작아 급격한 고용 침체 우려는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한은은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 / 한국은행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는 작년 한 해 월평균 16만8000명 늘었지만, 올해 1분기에는 11만1000명으로 둔화했다. 5~8월 중에는 2만7000명에 그쳤다. 연구진은 이러한 고용 감소의 45%가량은 추세적 이민 감소와 이민제한 정책으로 나타난 노동공급 축소가 원인이었다고 분석했다. 관세정책의 기여도는 40%, 연방 공무원 감축(DOGE)은 8% 정도로 각각 추정된다. 일자리가 없어 고용지표가 나빠졌다기 보다는 일할 사람이 없었다는 얘기다. 항목별로 따지면 순이민 감소로 1~7월 경제활동인구가 약 38만 명 줄었다. 이 중 20만 명은 자연 감소...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4 06:00:00 oid: 277, aid: 0005668886
기사 본문

'美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 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 美 고용 위축 '속도 조절'…실업률 완만한 상승 전망 미국 노동시장이 향후 노동 공급 축소의 영향을 완화하며 고용 위축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전망이 나왔다. 실업률은 경제 성장세 약화가 이어지는 내년 상반기까지 완만한 속도로 상승할 것으로 관측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최근 미국 노동시장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는 고용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기 때문이다. 비농업 취업자 수의 전월 대비 증가 규모는 지난해 월평균 16만8000명에서 올해 1분기 11만1000명으로 줄었고, 5~8월 중에는 2만7000명으로 크게 축소됐다. 고용의 하방 리스크가 커지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달 9개월 만에 정책금리를 인하했다. 24일 한은이 내놓은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 노동시장 상황 평가(정희완·이나영·이승민)'에 따르면 이 같은 고용둔화의 요인에 대해서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일각에...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4 06:00:00 oid: 003, aid: 0013554847
기사 본문

【워싱턴 = AP/뉴시스】 워싱턴의 백악관 앞에서 3월 4일(현지시간)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반 이민정책에 항의하는 미국시민자유연맹등 인권단체의 시위대. 트럼프 정부는 숙련된 기술직 노동자들에게 주어지던 오바마정부의 비자발급 혜택과 배우자 입국허용등을 폐기하고 고위기술직 초빙 입국까지 막으면서 갖가지 새로운 이민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2018.04.02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이민 정책으로 그동안 순이민 규모가 급격하게 하락했지만, 최근 트럼프 1기 수준으로 떨어진 만큼 이민 노동력의 추가 급감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은은 24일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재 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한은 조사국 국제경제부 미국유럽경제팀에서 작성했다. 보고서는 우선 최근 미국 취업자수 증가폭이 크게 줄면서 노동시장 침체 우려가 커진 가운데 고용 둔화에 대한 평가가 엇갈라는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비농업...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4 06:01:15 oid: 016, aid: 0002546533
기사 본문

한은,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 보고서 고용지표 둔화 원인 45%가 공급 요인 미국 고용지표 둔화의 원인이 절반가량 공급 측면에서 비롯됐기 때문에 급격한 침체 가능성이 작다고 한국은행이 분석했다. 사진은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등 연방당국 요원이 대규모 단속 작전을 펼친 이후 뉴욕 맨해튼 커낼가 일대의 모습 [AFP]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최근 미국 고용지표 둔화의 주된 원인이 이민 감소에 있기 때문에 급격한 고용 침체 발생 가능성은 작다는 분석이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한은은 24일 발간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에서 “올해 전체 고용감소의 절반 가까이는 이민 감소에 따른 노동 공급축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는 작년 한 해 월평균 16만8000명 늘었으나 올해 1분기 중 증가 규모가 11만1000명으로 둔화했고, 5~8월 중에는 2만7000명으로 축소했다. 이러한 고용 감...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