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부 장관 "재생에너지 중심 문명전환 초석"[李정부 첫 국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정감사에 출석한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연합뉴 [파이낸셜뉴스] "한국이 화석연료 의존을 끊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녹색문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초석을 놓겠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14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기후 위기가 인류의 생존과 세계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국정감사는 환경부가 기후부로 확대 개편된 이후 처음이다. 3선 의원으로 감사를 해오던 김 장관은 이번에는 피감기관을 대표하게 됐다. 김장관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 재생에너지 확대, 기후재난 안전망 강화, 미세먼지와 화학물질 관리 등 환경서비스 개선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에너지 정책 감사도 이뤄진다. 그동안 에너지 정책은 산업통상부(전 산업통상자원부) 소관이었으나, 조직개편으로 기후부로 이관되면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올해부터 에너지 분야까지 담당하게 됐다. 이에 따라 이번 국감은 기후부가 환경과 에너지 정책을 아우르는...
기사 본문
G20·아세안+3 등 다자협의체 회의 잇따라 기후위기·에너지 전환 등 협력 논의 기후에너지환경부 전경. ⓒ데일리안 DB [데일리안 = 장정욱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연이어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및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장관회의에서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전환, 에너지 안보 등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G20 장관회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주최, 회원국 및 초청국과 주요 국제기구 고위급 관계자가 참석한다. 이들은 ‘평등‧연대‧지속가능성’이라는 공통 주제 아래 환경‧기후, 에너지 등 분야별로 회의를 이어간다. 앞서 열렸던 주요 20개국 에너지전환 장관회의에서는 ▲에너지안보 ▲에너지 경제성 확보 ▲취약계층 에너지 접근성 개선 ▲공정하고 포괄적인 에너지 전환 ▲청정기술 기반의 지속 가능한 산업화 ▲지역 전력 통합 등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행동계획, 자발적 원칙, 정책지침 도구 등이 ...
기사 본문
채용상담관·일자리 커넥트 등 구성 지난 2023년 열린 기후에너지 일자리 박람회 모습. ⓒ기후에너지환경부 [데일리안 = 장정욱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는 16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2025 기후에너지 일자리 박람회’를 개최한다. 박람회에는 국내 100여 개 에너지기업과 공기업들이 참가한다. 이번 박람회는 ▲채용상담관 ▲에너지혁신인재포럼 ▲일자리 커넥트로 구성해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기후에너지산업 분야의 일자리를 소개하고 취업 전략 상담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채용상담관에서는 주요 기업, 연구소 등이 참여한다. 채용 상담과 현장 면접을 진행하는 한편,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이력서 진단, 인공지능(AI) 모의 면접, 진로 상담 등 다양한 취업 지원과 이력서 사진 촬영 등 부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혁신인재포럼에서는 에너지 인력양성 우수성과 시상식을 진행한다. 에너지 대표기업들과 ‘에너지산업 인력양성 및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식도 예정돼 있다....
기사 본문
남아프리카공화국·말레이서 기후·에너지·환경분야 장관회의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기후에너지환경부. 2025.09.30.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오는 17일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연이어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및 아세안+3(한·중·일) 동아시아 장관회의에 참석한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10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개최된 주요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와 16일부터 이틀간 케이프타운에서 열리는 G20 환경·기후 장관회의를 비롯해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는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에너지 장관회의를 통해 각국과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주최하는 이번 G20 장관회의는 '평등·연대·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환경·기후, 에너지 등 분야별로 진행된다. 앞서 열린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에서는 에너지안보와 에너지 경제성 확보, 취약계층의 에너지 접근성 개선, 공정하고 포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