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부동산 가격 상승, 한국 성장률 갉아먹어" [일문일답]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금통위원 6명 중 5명 기준금리 동결 의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선영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부동산 가격이 오른다고 해도 경기가 안 좋다면 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내비쳤다.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기지 않는 선에 움직이는 게 적합하다는 판단이다. 이 총재는 23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서울·수도권 부동산 가격은 소득수준이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는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자산 가격 상승은 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을 갉아먹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현행 2.50%로 동결했다. 앞서 금통위는 올해 2월과...
기사 본문
"정책 일관성 유지 중요…고통 따르더라도 전세 등 부동산 구조개혁해야" "환율 한 달 새 35원 올라…4분의 3은 관세 등 지역·국내 요인" 이창용 한은 총재, 기자간담회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23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우리나라 소득 수준과 사회적 안정을 고려할 때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우리 경제 성장률을 갉아먹는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23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은 불평등을 심화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주택을 투자 대상으로 보는 것이 사회적인 문제라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전세를 끊어내는 등 부동산 시장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동산 ...
기사 본문
"금리인하, 경기부양보다 자산가격 올려…부동산값 가속화 위험" "수도권 집값, 버블 여부 떠나 사회적안정 유지하기에 너무 높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10.23/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서울·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버블 유무에 관계 없이 소득 수준·사회안정 유지에 과도한 수준"이라며 "이번에 금리를 인하했다면 부동산 가격을 가속할 위험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직후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는)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성장은 전망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부동산 대책의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영향, 환율 변동성 등 금융안정 상황도 좀 더 살...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을 듣고 있다. 2025.10.2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한국은행이 10월통화정책방향회에서도 기준금리를 2.5%로 3회 연속 동결을 선택하면서 시장의 관심은 추가 인하 시점으로 옮겨가고 있다. 시장에서는 금융통화위원들이 외환시장 불안과 정부의 부동산 대책 효과를 확인하려 들 것이라는 점에서 사실상 연내 인하가 어려워졌다는 시각이 나온다. 다만 내년에도 성장세가 잠재성장률을 밑돌 것으로 전망되고 이창용 총재가 연내 인하 여지를 남겼다는 점에서 11월 금리 인하 전망도 유효하다는 의견도 있다. 24일 한은에 따르면 전날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 2.50%로 3회 연속 동결했다.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개선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부동산 대책 효과와 환율 변동성 등 금융 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