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尹정부 국유재산 헐값 매각 지적…"수혜 대상자 밝혀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감현장]"국유재산 매각 결과 참단…국가적 손실 커"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기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10.14/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김도엽 신민경 기자 = 윤석열 정부에서 국유재산을 헐값에 매각해 세수 펑크를 메웠다는 여당의 지적이 나왔다. 23일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국유재산 매각 활용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국유재산을 5년간 16조 원 이상 매각하겠다 발표 후 캠코가 충실히 이행했는데, 그 결과가 너무 참담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낙찰가가 100% 미만 건이 지난 정권에서는 10%대였다면, 윤석열 정부에서는 42%, 58%, 51% 등 헐값에 매각됐다"며 "국가적인 손실이 큰 것 아니겠나"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09.29. (자료사진)kgb@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23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주택금융공사·신용보증기금 국정감사에서는 정부의 취약계층 빚 탕감 프로그램인 '새도약기금'과 캠코의 국유재산 헐값매각 의혹이 도마에 올랐다. 여권은 윤석열 정부 당시 유휴·저활용 국유재산 매각 활성화 방안으로 국유자산이 헐값 매각됐다고 공세를 이어갔고, 야권은 새도약기금 관리 부실 가능성과 캠코·주금공·신보에 대한 건전성 우려를 지적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3일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열린 국감에서 "윤석열 정부는 2022년 8월 활용도가 낮은 국유재산을 향후 5년간 16조원 이상 매각하겠다고 발표했다"며 "낙찰가가 100% 미만인 건이 지난 정권에서 10%대였다면 ...
기사 본문
[the300][2025국정감사]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5.10.2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당이 윤석열정부 당시 이뤄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KAMCO)의 대규모 국유지 매각과 관련해 여러 의혹을 제기했다. 야당은 이재명정부의 채무 탕감 정책 등으로 인해 캠코의 재무 상황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맞불을 놨다.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23일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진행된 캠코·한국주택금융공사·신용보증기금 등을 상대로 한 국정감사에서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캠코에) 국유재산 매각과 관련한 상세 내역 자료 제출을 두 달 전부터 요구했는데 개인정보 등을 이유로 받지 못하고 있다"며 "윤석열정부 당시 ...
기사 본문
부산국제금융센터 정무위 국감 - 낙찰가 100% 미만 건수 폭증 - 與 “수의계약자 자료 제출하라” - IMF 부실채권 1조여 원 남아 - “새도약기금 포함 검토” 목소리 부산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국유재산 헐값 매각 의혹이 도마 위에 올랐다. 여당 의원들은 윤석열 정부 들어 국유재산 매각 건수가 크게 올랐는데 그마저도 제값을 받지 못했다며 질타했다. 23일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국회 정무위원회의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신용보증기금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려 의원들이 기관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이원준 기자 23일 남구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3층에서 열린 정무위 국감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캠코 정정훈 사장에게 국유재산 매각 논란에 대해 따져 물었다. 민주당 김승원(경기 수원갑) 의원에 따르면 국유재산 총입찰매각건수는 2020년 206건, 2021년 146건, 2022년 114건이었다. 2022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