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가파른 상승 성장률 갉아먹어" [기준금리 동결]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0-24 05:18:4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파이낸셜뉴스 2025-10-23 18:36:11 oid: 014, aid: 0005423858
기사 본문

한은, 금리 3연속 동결 2.50%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금방 꺾어질 것이라는 생각은 안 한다"며 과열되고 있는 수도권 주택시장에 강한 우려를 표시했다. 이 총재는 23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어 "금리정책으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면서도 "정부가 추가 부동산대책을 발표했는데 통화정책 면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기대를 자극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선 6·27 대출규제, 9·7 주택공급대책에도 서울의 집값 상승세가 잡히지 않는 가운데 10·15 대책까지 나온 상황에서 금리인하로 주택가격을 부채질할 이유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 총재는 "서울·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한국의 소득수준,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오히려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지적했다. 집값과 함께 금리인하의 걸림돌로 작용한 원·달러 환율에 대해...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3 15:17:31 oid: 277, aid: 0005668740
기사 본문

10월 금통위 기자간담회 이창용 "기준금리 동결, 신성환 위원만 반대 의견" 3개월 내 추가 인하 가능성, 5명→4명 "금리인하기조 계속되지만 시기·폭 조정" 11월 동결 가능성엔 "굉장히 많은 변수, 불확실성 커" 최근 자산가격 상승엔 "주식은 생산적, 부동산은 성장 갉아먹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금리인하 기조는 계속되지만 인하 시기와 폭은 조정됐다고 봐야 한다"며 "다만 (동결을 언제까지 유지할지에 대해선) 부동산 가격이 높다고 계속 기다린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이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결정은 부동산, 경기를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올라가도 경기가 폭락한다면 경기를 보고 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융안정 측면에서 금리인하 재개를 위한 조건을 묻...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23 15:54:16 oid: 028, aid: 0002772466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뒤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기준금리를 동결(2.5%)한 금융통화위원회 뒤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우리 사회 불평등을 심화하고 우리 경제 성장률을 갉아먹는다”고 진단했다. 주택을 투자 대상으로 보는 것이 사회적인 문제라고 지적한 뒤 “고통이 따르더라도 전세 제도 등 부동산 시장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한두 달 새 부동산 가격이 잡히지 않는다 해도 일관성 있게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의 일문일답. ―이번 금리 동결이 집값 안정에 어떤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나. “이번에 기준 금리를 내렸다면 투자 비용이 줄어 부동산 가격 상승을 가속할 위험이 있다. 금리 인하 사이클에 있지만 속도와 폭을 천천히 가져갈 것이라는 기대를 형성할 수 있다. 한-미, 미-중 무역 협상과 반도체 사이클 등...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3 15:12:17 oid: 008, aid: 0005267245
기사 본문

"고통 따르더라도 부동산 시장 구조개혁 계속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사진제공=뉴시스(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버블(거품) 유무에 관계없이 서울과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우리나라의 소득 수준이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는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자산 가격 상승이 우리나라의 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을 갉아먹는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한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가는 것은 불평등을 심화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금통위는 이날 서울 및 수도권 집값 상승과 환율 불안정 등을 감안해 3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이 총재는 "이번에 금리를 인하했으면 투자 비용이 줄어 부동산 가격을 가속화시킬 위험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계적으로 컨펌(확정)하기엔 아직 시기가 좀 짧다"면서도 "우리가 ...

전체 기사 읽기

문화일보 2025-10-24 06:11:12 oid: 021, aid: 0002744812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의 발목을 잡는 집값 문제에 대해 “금리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면서 “부동산 가격이 높으면 계속 (금리를 동결한 채로) 기다린다는 것은 아니다. 경기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특히 이날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향후 3개월 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이었다고 이 총재는 전했다. 이 총재는 “물가는 우리가 주도권을 잡고 정책을 하지만, 부동산 가격은 정부 정책을 할 때 통화정책으로 부추기는 쪽으로 가지 않겠다는 스탠스”라면서도 “금리 인하로 부동산 시장이 더 과열될지 판단하겠지만, 금리 인하를 안 했을 때 경기가...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23 15:45:10 oid: 119, aid: 0003015901
기사 본문

"모든 정책 일관성 있게 집값 잡아야" "고통 따르더라도 구조개혁 나서야" "관세 협상 잘되면 환율 내려갈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은행 [데일리안 = 정지수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금방 꺾어질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고 유심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모든 정책이 일관성 있게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번 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서 "수도권 주택시장이 다시 과열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며 "정부가 추가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는데 통화정책 면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기대를 자극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위험은 많이 사라진 것 같다"면서도 "부동산 가격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가격 상승이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0-23 12:22:11 oid: 079, aid: 0004078226
기사 본문

"서울·수도권 부동산 가격, 소득 등 고려해 너무 높아" "부동산가격 상승, 한국 성장률 갉아먹어…구조개혁 계속 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 불평등도 높이고 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3 12:14:06 oid: 016, aid: 0002546278
기사 본문

이창용 총재, 23일 기자간담회에서 강조 “과거 유동성이 자산 가격 올리고 있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집값이 잡히지 않는다고 계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채 기다릴 수는 없다고 부연했다. 저성장 상황 속 경기 부양 요인도 통화당국이 놓칠 수 없는 주요 책무 중 하나라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금리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며 “인플레이션처럼 표적화할 수 있는 문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