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골드러시'의 역습…'좋은 금고'가 부족하다 [글로벌 머니 X파일]

2025년 10월 1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4개
수집 시간: 2025-10-15 12:05: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경제 2025-10-15 07:31:13 oid: 015, aid: 0005196736
기사 본문

지난 13일 독일 뮌헨의 프로 아우룸 금고의 안전 금고에 금괴가 쌓여 있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최근 세계적으로 금을 보관하고 검증하는 금 보관 인프라에 '병목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글로벌 ‘골드러시’에 실물 금 수요도 급증하면서다. 4000달러 시대의 개막 1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국제 현물 금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4078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 한 해에만 53% 이상 급등한 수치다. 1979년 2차 오일 쇼크 이후 가장 폭발적인 랠리라는 분석이다. 최근 금값 랠리는 과거와 질적으로 다르다는 분석이다. 단순히 인플레이션 헤지나 단기적인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넘어선다. 글로벌 통화 및 지정학적 질서의 재편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중앙은행, 상장지수펀드(ETF) 투자자, 개인 투자자라는 세 개의 강력한 수요자가 동시에 실물 금을 사들이면서 그 파급력이 커졌다. 밥 트리에스트 노스이스턴대학 경제학 교수는 "금 가격 4000달러 돌파는 단...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0-15 11:00:17 oid: 629, aid: 0000434037
기사 본문

사상 첫 온스당 4000달러·14일 장중 4179달러 안전자산 선호·미국 금리 인하 기대가 불씨 '김치 프리미엄' 확대, 급락 위험 커져 금 국제가는 지난 8일 처음 4000달러를 돌파한 뒤 14일(현지시간) 장중 4179달러까지 치솟으며 또 한 차례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귀금속들이 전시돼 있는 모습. /남윤호 기자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 온스당 4000달러를 넘어서며 열풍이 거세다. 국내에선 금 한 돈(3.75g) 가격이 84만원을 웃돌고 골드뱅킹 잔액이 1조5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지금 아니면 못 산다'는 심리가 들끓고 있다. 그러나 실물 공급 차질과 국내 프리미엄(국제시세와의 괴리) 확대로 인한 가격 왜곡, 단기 조정 가능성 등 경고음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글로벌 금시장은 이달 들어 기록을 연일 새로 쓰고 있다. 금 국제가는 지난 8일 처음 4000달러를 돌파한 뒤 14일(현지시간) 장중 4179달러까지 치솟으며 또...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15 11:49:09 oid: 374, aid: 0000468534
기사 본문

[앵커] 들썩거리는 자산을 이야기할 때 최근 빼놓을 수 없는 금 관련 소식도 짚어보겠습니다. 한때 가상 자산 시장을 통해 유명해진 '김치 프리미엄'이 가장 전통적인 자산 중 하나인 금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신다미 기자, 금값이 국제 시세와 얼마나 벌어졌나요? [기자] 한국거래소의 금 시장과 국제 금 현물 가격 간 괴리율은 16.2%까지 확대됐습니다. 국내 금값은 어제(14일) 종가로 g당 21만 9900원을 기록했고, 장중에는 사상 최고치인 22만 원을 넘어서기도 했는데요. 국제 금값도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가격은 g당 18만 9,270원으로 국내 금값과 3만 원 넘게 가격이 벌어졌습니다. 지난달 12일 국제 금값과 가격 차이는 1.3%였지만 국내 금값이 더 빠른 속도로 오르며 불과 한 달 사이에 16% 넘게 확대된 건데요. 해외에선 금 한 돈(3.75g)을 약 71만 원에 살 수 있지만 국내에선 약 82만 원에 살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국내 금값이 비싸진 이유가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5 10:50:58 oid: 003, aid: 0013535396
기사 본문

전날 기준 금 현물 1g 당 21만9900원 이날 더 올라 22만5490원에 거래되기도 "국제 수준과 괴리 17%…투자 신중해야"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금값이 연일 최고가를 기록하는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모니터에 금 판매 가격이 나오고 있다. 2025.10.13. ks@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국제 금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시세차를 나타내는 김치 프리미엄 현상이 극심해지면서 투자 과열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KRX 금시장의 금 현물 가격은 1g당 21만9900원에 마감했다. 이는 한 돈(3.75g) 기준으로는 82만4600원 수준이다. 민간 기준으로 거래되는 한국금거래소의 순금 1돈 시세는 84만7000원에 달한다. 금값은 파죽지세로 치솟고 있다. 이날 오전 KRX 금시장에서 금은 1g당 22만5490원으로 전날보다도 5590원(2.38%) 오른 가격에 거래...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