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부동산 가격이 우리나라 성장률 갉아 먹어”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0-24 01:56:0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채널A 2025-10-23 12:12:08 oid: 449, aid: 0000324175
기사 본문

(사진=뉴시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부동산 가격이 우리나라 성장률과, 잠재성장률 을 갉아 먹는다"고 말했습니다. 오늘(23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후 실시된 총재 기자간담회에서 이창용 총재는 "부동산 가격 상승을 가속화할 위험 등 때문에 금리를 동결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어서, "우리나라에서 주택 가격은 마치 자산 가격이 되어 버렸다"며,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을 생활비용이 아니라 투자 자산으로 보는 인식이 많아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런 인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부동산 가격이 오 르는 것은 불평도를 심화시키고, 우리나라의 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을 갉아 먹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현재 기조의 가계대출 관리 정책 방향이 유지되고 공급정책이 발 표된다면 부동산 가격이 안정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집값 규제 정책이 시행되며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시 세제 혜택...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3 15:17:31 oid: 277, aid: 0005668740
기사 본문

10월 금통위 기자간담회 이창용 "기준금리 동결, 신성환 위원만 반대 의견" 3개월 내 추가 인하 가능성, 5명→4명 "금리인하기조 계속되지만 시기·폭 조정" 11월 동결 가능성엔 "굉장히 많은 변수, 불확실성 커" 최근 자산가격 상승엔 "주식은 생산적, 부동산은 성장 갉아먹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금리인하 기조는 계속되지만 인하 시기와 폭은 조정됐다고 봐야 한다"며 "다만 (동결을 언제까지 유지할지에 대해선) 부동산 가격이 높다고 계속 기다린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이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결정은 부동산, 경기를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올라가도 경기가 폭락한다면 경기를 보고 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융안정 측면에서 금리인하 재개를 위한 조건을 묻...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0-24 00:05:14 oid: 005, aid: 0001809750
기사 본문

기준금리 2.5%… 3차례 연속 동결 “부동산 과열이 성장률 갉아먹어 금리 동결로 억제하는 데엔 한계 연내 금리 인하? 상황 지켜봐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이 총재는 최근 부동산 상승세와 관련해 “상승세가 금방 꺾일 것 같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수도권 부동산 과열과 환율 불안정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수도권 집값이 국민소득 수준에 비해 너무 높다”고 말했다. 또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상승세가 당장 잡힌다는 보장은 없고, 금리 동결로 부동산을 억제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 종료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실물경기에 비해 자산시장이 유독 활황’이라는 질문에 “버블의 유무와 관계없이 지금 수도권 부동산 가격은 우리 소득 수준에 비했을 때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23 15:54:16 oid: 028, aid: 0002772466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뒤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기준금리를 동결(2.5%)한 금융통화위원회 뒤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우리 사회 불평등을 심화하고 우리 경제 성장률을 갉아먹는다”고 진단했다. 주택을 투자 대상으로 보는 것이 사회적인 문제라고 지적한 뒤 “고통이 따르더라도 전세 제도 등 부동산 시장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한두 달 새 부동산 가격이 잡히지 않는다 해도 일관성 있게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의 일문일답. ―이번 금리 동결이 집값 안정에 어떤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나. “이번에 기준 금리를 내렸다면 투자 비용이 줄어 부동산 가격 상승을 가속할 위험이 있다. 금리 인하 사이클에 있지만 속도와 폭을 천천히 가져갈 것이라는 기대를 형성할 수 있다. 한-미, 미-중 무역 협상과 반도체 사이클 등...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