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소부장 특화단지’ 10→20개로 확대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4개
수집 시간: 2025-10-24 01:25: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0-23 17:01:11 oid: 016, aid: 0002546448
기사 본문

30조 민간투자·핵심기술 40개 확보 목표 ‘상생 패키지’로 기업 유치, 지자체 중심 운영체계 전환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감도 [SK하이닉스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가 반도체·이차전지 등 핵심 산업의 공급망 자립을 위해 2030년까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를 10곳에서 20곳으로 늘리고, 30조원의 민간 투자를 유치한다는 종합계획을 내놨다. 23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부 등 관계부처는 ‘소부장 특화단지 종합계획(2026~2030년)’을 발표하고, 핵심기술 40개 확보와 기업투자 30조원, 8000명 이상 고용 창출을 목표로 제시했다. 소부장 특화단지는 2021년 첫 지정 이후 5년간 총 11조원의 민간투자를 집행했고, 핵심기술 15개를 확보했다. 1기 단지 수출은 42% 증가하고, 입주기업 수는 713개사 늘었다. 정부는 향후 AI 기반 ‘트윈랩(Twin Lab)’을 도입해 생산공정을 디지털화하고, 연구개발·성능평가·사업화가 한 번에 가능한 융...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3 17:00:00 oid: 003, aid: 0013554246
기사 본문

혁신·시장·생태계 등 3대 역량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도전기술 개발, 글로벌 선도 기업 육성, 생태계 역량 강화 소부장 특별회계 규모 확대…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 추진 [세종=뉴시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4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재부 제공) 2025.10.23.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공지능(AI), 탄소중립 등 산업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혁신·시장·생태계 역량 강화를 골자로 하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 강화 기본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소부장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소부장 수출액을 지난해 3637억 달러 수준에서 오는 2030년까지 4500억 달러로 끌어올리고 무역수지 규모 1125억 달러에서 1500억 달러, 생산액 1350조원 등을 달성한다...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23 17:11:48 oid: 029, aid: 0002988986
기사 본문

소부장 특화단지, 2030년까지 20곳으로 확대 소부장 공급망안정화기금 약 3조5000억 지원 경제안보품목 미포함 소부장 연계사업도 우대금리 0.3~0.5%p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가 5년 간 10곳이 추가 조성돼 2030년까지 총 20곳으로 늘어난다. 인공지능(AI) 활용 신소재 개발로 데이터 기반 연구도 2030년까지 1500만건 이상 확대된다. 소부장과 연계된 사업에는 최대 0.5%포인트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정부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마련했다.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위기를 계기로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된 가운데, AI와 탄소중립 등 거대 산업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투자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내년까지 3개의 소부장 특화단지를 추가로 지정, 오는 2030년까지 총 20개의 산업 거점을 조성한다...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0-23 20:11:09 oid: 658, aid: 0000123752
기사 본문

이재명 정부 첫 ‘소부장 강화 계획' 발표 내년 상반기 '소부장 핵심전략지도' 구축 내년에만 총 1조2100억원 R&D 예산 지원 지역이 주도하는 '소부장 협력모델' 신설 소부장 특화단지, 2030년까지 20개 구축 정부가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을 ‘모방 추격형’에서 ‘시장 선도형’으로 전환하기 위해 내년에만 1조2000억 원대의 연구·개발(R&D) 예산을 지원하는 등 집중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지역 앵커기업(선도기업)과 공급기업 간 ‘소부장 협력모델’을 신설하고, 현재까지 전국 기준 총 10곳이 지정된 소부장 특화단지는 2030년까지 10곳을 더 선정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소부장 수출액을 지난해 3637억 달러에서 2030년 4500억 달러로 늘리고 소부장 생산액도 1077조 원에서 1350조 원으로 확대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로 했다.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오른쪽 두 번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4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