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원안위, 23일 회의서 사고관리계획서 승인 '계속 운전'도 승인 임박 관측 환경단체 "소송 통해 심의 무효 주장할 것"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송호재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부산 고리원전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를 승인했다. 계속운전(수명 연장) 승인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심사 중단을 주장해 온 시민단체들은 법적 대응을 예고하는 등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23일 제223회 회의를 열고 고리2호기 사고관리계획서 승인을 의결했다. 안건 표결을 진행한 원안위는 참석 위원 7명 가운데 6명이 찬성해 계획서를 승인했다. 사고관리계획서는 중대사고를 포함한 원전 사고 발생 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고 사고의 영향을 완화해 안전한 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전략, 이행 체계 및 설비 등 제반 조치를 규정한 문서다. 원안위는 이어서 고리2호기 계속 운전(수명연장) 안건을 심의하고 있다. 앞서 원안위는 지난달 25일 제222차 회의에서 같은 안건을 상정해 심의했...
기사 본문
2017년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1∼4호기 모습. 연합뉴스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의 ‘수명 연장’을 심의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원전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최신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면서도 ‘수소 폭발’ 관련 분석에선 최신 모델보다 정밀도가 낮은 방식을 쓴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원안위는 원전 사고 상황에서 수소의 밀집을 확인할 수 있는 안전 평가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됐는데도 이전 방식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전은 사고 상황에서 수소가 생성·폭발하는 상황에 대비하는데, 이때 대기보다 가벼운 수소가 원전 상단에 몰리는 수소 성층화는 주요 고려 대상이 된다. 미국 전력연구소는 2017년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한 뒤 수소 성층화를 적절히 확인하는 것의 중요해졌다”며 기존의 ‘중대사고 해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MAAP·맵)을 갱신한 버전 ‘5.04’를 배포했다. 맵은 대표적인 원전 안전성 검증 프로그램 중 하나로, 원전 사고 상황을 예측·분석해 원전 중대...
기사 본문
원안위, 방사선영향평가 이견 한빛 1·2호기 심사도 밀릴 듯 부산 기장군 장안읍 월내 쪽에서 바라본 고리2호기(오른쪽 두 번째) 모습. 사진=연합뉴스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를 최대 10년 더 가동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또다시 미뤄졌다. 한빛 1·2호기 등 다른 원전의 계속운전 심의도 줄줄이 밀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3일 고리 2호기 계속운전에 대한 두 번째 심의를 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차기 회의에서 계속 심의하기로 했다. 방사선환경영향평가 규정을 놓고 위원들 사이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달 회의에서도 자료 보완 및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고리 2호기 추가 가동 관련 결정을 연기했다. 이날 회의에서 고리 2호기의 사고관리계획서는 표결을 거쳐 승인됐다. 고리 2호기는 1983년 4월 가동을 시작했다. 작년 4월 40년의 설계수명이 만료돼 2년6개월째 운영이 정지된 상태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022년 4월 계속운전 허가를...
기사 본문
가동이 중단된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의 재가동 여부 결정이 다시 미뤄졌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어제(23일) 전체회의를 열고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 원전 2호기의 계속 운전에 대한 두 번째 심의를 진행했지만, 방사선환경영향평가 규정을 놓고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보고 다음 회의에 안건을 재상정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원안위는 지난해 12월 비공개 실무검토를 거쳐 지난달 25일 고리2호기 수명연장 안건을 상정했지만, 결론 내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고리2호기의 재가동 여부는 다음 달 13일에 열리는 회의에서 판가름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리2호기는 지난 1983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587MW급 원전으로, 설계수명 40년이 만료돼 2023년 4월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