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에 정비사업 침체 전망… 건설업계 '긴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재개발·재건축 수주 약화… 대형사 실적 하락 우려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도시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지연 우려가 커진 가운데 향후 대형사의 실적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잠실동 아파트. /사진=뉴시스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도시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이 지연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건설업계에 긴장이 고도된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대형 건설업체들은 수익성 높은 수도권 정비사업 수주를 강화해 왔지만 향후 대형사의 실적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23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10·15대책으로 향후 대형 건설업체들의 수주와 매출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하반기 이후 수도권 외곽에서 미분양이 확산하자 주요 건설업체들은 분양 리스크가 낮은 서울 핵심지의 정비사업에 수주 역량을 집중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평가다. 전지훈 한국신...
기사 본문
정비사업 제도 종합개편 방안 세부 내용 공유 건설업계 공공재개발 등 사업 참여 확대 요청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자료사진) /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국토교통부는 23일 정부와 정비업계 간 정책 공조를 강화하기 위한 정비사업 정책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새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방안'(9·7 공급 대책)의 후속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국토부를 비롯해 건설사, 신탁사, 정비사업전문관리업체, 유관 협회 등이 참석한다. 먼저 국토부는 9·7 공급 대책에서 제시한 정비사업 제도 종합개편 방안의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관련 도시정비법 개정안(9월 30일 문진석 의원 대표 발의)의 주요 내용 및 향후 입법 추진 일정을 업계와 공유한다. 9·7 공급 대책에는 정비사업을 통해 추진 중인 서울 40만 가구, 수도권 68만 가구의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사업 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사업성을 보완하는 방안이 담겼다...
기사 본문
조합·학계 릴레이 간담회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9월 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9·7 공급대책을 통해 정비사업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힌 정부가 정비업계를 직접 만나 간담회를 개최한다. 현장에서 체감하는 애로사항을 듣겠다는 취지의 행보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오후 서울에서 정비사업 정책 간담회를 개최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국토부와 건설사, 신탁사, 정비사업전문관리업체, 유관 협회가 참석한다. 먼저 정부는 9·7 공급대책에서 밝힌 ‘정비사업 제도 종합개편’에 관한 상세 내용을 설명하고, 관련 도시정비법 개정안(9·30, 문진석의원 대표발의)의 주요내용 및 향후 입법 추진일정 등을 정비업계와 공유한다. 9·7 공급대책에서는 정비사업을 통해 추진 중인 서울 40만호, 수도권 68만호의 공급 촉진을 위해 사업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사업성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 등이 제시됐다. 복잡한 행정절차...
기사 본문
9·7 주택 공급 대책 후속 조치 설명 "도심 내 주택 공급 확대 의지 확고" 국토교통부 로고.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국토교통부는 23일 오후 서울에서 정부와 정비업계 간 정책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 정비사업 정책 간담회를 개최한다. 9·7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의 후속으로 진행되는 이번 간담회에는 국토교통부와 건설사, 신탁사, 정비사업전문관리업체, 유관 협회가 참석한다. 정부는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새정부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정비업계는 현장에서 체감하는 애로사항에 대한 개선을 건의할 계획이다. 정부는 9·7 공급대책에서 밝힌 ‘정비사업 제도 종합개편’에 관한 상세 내용을 설명하고, 관련 도시정비법 개정안의 주요내용 및 향후 입법 추진일정 등을 정비업계와 공유한다. 정비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복잡한 행정절차, 동의 확보는 최대한 한번에, 미리 처리할 수 있게 하고, 조합이 확보해야 하는 국·공유지 확보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 합리화 방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