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부장' 공급망안정화기금-특별회계 연계 지원키로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3개
수집 시간: 2025-10-23 22:07:4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노컷뉴스 2025-10-23 17:01:11 oid: 079, aid: 0004078407
기사 본문

경제안보품목 아니라도 소부장 연계사업에 우대금리 등 지원 강화 특별회계-안정화기금 정보공유도 확대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는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14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어 공급망안정화기금의 소재·부품·장비 지원방안 등을 심의·의결했다. 최근 미-중 패권경쟁, 핵심 전략자원 확보 경쟁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더욱 불안해지고 있다. 이미 정부는 공급망안정화기금으로 소부장 기업의 소재·부품 확보, 생산시설 확충 등에 지난달까지 약 3조 5천억 원을 지원해왔지만, 공급망 회복력을 높이고 관련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한걸음 더 나아갈 시점이라는 것이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만들어진 '소부장 특별회계'와의 체계적 연계가 약한 연결고리로 지적됐다. 대출 등을 통해 기업의 시장 안착·신기술 양산화 등을 간접 지원하는 공급망안정화기금과 핵심기술 확보·자립화를 직접 돕는 특별회계 ...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0-23 20:11:09 oid: 658, aid: 0000123752
기사 본문

이재명 정부 첫 ‘소부장 강화 계획' 발표 내년 상반기 '소부장 핵심전략지도' 구축 내년에만 총 1조2100억원 R&D 예산 지원 지역이 주도하는 '소부장 협력모델' 신설 소부장 특화단지, 2030년까지 20개 구축 정부가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을 ‘모방 추격형’에서 ‘시장 선도형’으로 전환하기 위해 내년에만 1조2000억 원대의 연구·개발(R&D) 예산을 지원하는 등 집중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지역 앵커기업(선도기업)과 공급기업 간 ‘소부장 협력모델’을 신설하고, 현재까지 전국 기준 총 10곳이 지정된 소부장 특화단지는 2030년까지 10곳을 더 선정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소부장 수출액을 지난해 3637억 달러에서 2030년 4500억 달러로 늘리고 소부장 생산액도 1077조 원에서 1350조 원으로 확대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로 했다.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오른쪽 두 번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4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3 17:00:00 oid: 003, aid: 0013554246
기사 본문

혁신·시장·생태계 등 3대 역량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도전기술 개발, 글로벌 선도 기업 육성, 생태계 역량 강화 소부장 특별회계 규모 확대…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 추진 [세종=뉴시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4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재부 제공) 2025.10.23.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공지능(AI), 탄소중립 등 산업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혁신·시장·생태계 역량 강화를 골자로 하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 강화 기본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소부장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소부장 수출액을 지난해 3637억 달러 수준에서 오는 2030년까지 4500억 달러로 끌어올리고 무역수지 규모 1125억 달러에서 1500억 달러, 생산액 1350조원 등을 달성한다...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23 17:11:48 oid: 029, aid: 0002988986
기사 본문

소부장 특화단지, 2030년까지 20곳으로 확대 소부장 공급망안정화기금 약 3조5000억 지원 경제안보품목 미포함 소부장 연계사업도 우대금리 0.3~0.5%p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가 5년 간 10곳이 추가 조성돼 2030년까지 총 20곳으로 늘어난다. 인공지능(AI) 활용 신소재 개발로 데이터 기반 연구도 2030년까지 1500만건 이상 확대된다. 소부장과 연계된 사업에는 최대 0.5%포인트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정부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마련했다.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위기를 계기로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된 가운데, AI와 탄소중립 등 거대 산업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투자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내년까지 3개의 소부장 특화단지를 추가로 지정, 오는 2030년까지 총 20개의 산업 거점을 조성한다...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