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전후 서울 아파트 값 역대급 상승, 마지막 갭투자 여파인듯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핵심요약 한국부동산원 10월3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2주 합산 상승률과 비슷한 수준 기록 서울, 광진, 성동 2주 합산 상승률 제외 역대 최대 상승률 19일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된 경기도 과천, 성남, 수원, 용인 상승률은 2주 합산 상승률보다도 커져 한국부동산원 제공 10.15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10월 3주 서울 아파트 매매지수 상승률이 2주간 매매지수 상승률을 합산한 수치와 비슷할 정도로 크게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3주(10월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직전 주(0.54%)에 비해 소폭 감소한 0.50%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의 10월2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은 추석연휴로 인해 2주간 매매지수를 합산해 발표해 3주차와 직접 비교는 힘들다. 하지만 서울 전체 지수 상승률이 2주간 지수 상승률 합산치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상승률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기사 본문
▲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 일주일간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또다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책 발표 직전부터 당일까지 막판 매수세 집중으로 곳곳에서 상승 거래가 이뤄지고 신고가 거래가 속출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됩니다. 지금은 규제지역에 이어 토허구역까지 '삼중 규제' 시행이 완료된 상태인 만큼 다음 주부터 수요 위축과 관망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날지에 관심이 쏠립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셋째 주(10월 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매매 가격은 직전 주 대비 0.50% 올랐습니다. 지난주 공표가 10월 13일 기준이므로 10·15 대책 발표 직전부터 한 주간 상황이 반영된 수치입니다. 직전 주 상승률은 0.54%였지만 이는 추석 연휴 기간 발표를 건너뛴 2주 누계이며,...
기사 본문
규제발표 전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유지…한강벨트 1%대 상승률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 일주일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또다시 큰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책 발표 직전부터 당일까지 막판 매수세 집중으로 곳곳에서 상승 거래가 이뤄지고 신고가 거래가 속출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됩니다. 지금은 규제지역에 이어 토허구역까지 '삼중 규제' 시행이 완료된 상태인 만큼 다음 주부터 수요 위축과 관망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날지에 관심이 쏠립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셋째 주(10월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50% 올랐습니다. 지난주 공표가 10월13일 기준이므로 10·15 대책 발표 직전부터 한 주간 상황이 반영된 수치입니다. 직전 주 상승률은 0.54%였지만 이는 추석 연휴 기간 발표를 건너뛴 2주 누계이며...
기사 본문
[앵커] 정부가 세 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놓기 전후 서울 집값 상승폭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과 마찬가지로 12개 지역이 이른바 '삼중규제'에 묶인 경기도의 아파트값도 들썩였는데요. 규제 발표 전 막판 매수세가 몰린 영향입니다. 곽준영 기자입니다. [기자]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처음으로 집계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은 0.5%. 추석 연휴를 건너뛰고 나온 2주간 누계치보단 소폭 줄었지만, 한 주 단위로 보면 2013년 1월 주간 통계 공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자치구별로는 모두 7개 구의 집값 상승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광진구가 전주 대비 1.29%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성동구와 강동구도 1%대의 상승률을 나타내며 급등세를 견인했습니다. 이번 통계는 대책 발표 바로 전날인 지난 14일부터 토허구역 확대 첫날인 20일 사이 조사가 이뤄져 막판 매수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박원갑/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