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 상승에... 예·적금 금리 다시 올리는 은행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하나은행 0.05%포인트, 카카오뱅크 0.1%포인트 인상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뉴스1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줄줄이 올리고 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시장금리가 오른 데다, 4분기 대규모 예·적금 만기가 돌아오면서 수신금리 경쟁이 치열해졌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전날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55%에서 연 2.6%로 높였다.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는 지난 7월 연 2.45%까지 떨어졌다가 9월 23일 연 2.5%로 올랐었다. 그러나 이달에만 1일과 22일 0.05%포인트씩 두 차례 인상됐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 인상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인터넷전문은행들도 최근 예·적금 금리를 높였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17일 정기예금과 자유적금의 1년 만기 금리를 0.1%포인트씩 올렸다. 이에 따라 정기예금 1년 만기 기본금리는 연 2.6%, 자유적금 1년 만기 기본금리는 연 2.8%로 조정됐다...
기사 본문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줄줄이 올리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시장금리가 오른 데다, 4분기 대규모 예·적금 만기가 돌아오면서 수신금리 경쟁도 치열해지는 분위기입니다. 오늘(2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전날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55%에서 2.60%로 높였습니다.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는 지난 7월 2.45%까지 떨어졌다가 9월 23일 2.50%로 올랐으며, 이달에만 1일과 22일 0.05%포인트(p)씩 두 차례 인상됐습니다. 하나은행은 "시장금리 인상을 반영해 정기예금 금리를 0.05%p 올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인터넷전문은행들도 최근 예·적금 금리를 높였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17일 정기예금과 자유적금의 1년 만기 금리를 0.10%p씩 올렸습니다. 이에 따라 정기예금 1년 만기 기본금리는 2.60%, 자유적금 1년 만기 기본금리는 2.80%로 조정됐습니다. 케이뱅크도 지난 15일 코드K정기예금 1년 만기 상품의...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서울 시내 한 은행에 정기예금 금리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3.12.26. yesphoto@newsis.com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시중은행들이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예금금리를 잇따라 인상했다. 시장금리 상승과 10~11월 만기 도래 고객을 붙잡기 위한 재가입 경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여전한 만큼, 예금금리 인상은 단기적 현상으로 보인다. 23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주요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전월보다 0.05~0.10%p 상승했다. 우선 KB국민은행 'KB Star(스타) 정기예금'은 지난달 2.45%에서 2.50%로 상승한 데 이어, 이날 기준 2.55%로 높아졌다.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도 이날 기준 2.55%로, 한달 전 2.45%와 비교해 0.10%p 올랐다. 하나은행의 '하나의 정기예금'은 최근 한 달 사이에 0.05%p씩 세 차례 인상돼 2.60%를 나...
기사 본문
우리나라 기준금리 추이(2025년 10월)/그래픽=김지영 은행권이 가계대출 한도 관리와 높아진 조달비용을 반영해 연말을 앞두고 대출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23일 기준금리(연 2.50%)를 3연속 유지해 은행권의 조달비용도 당분간 계속 높아질 전망이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은행은 가계대출 한도 소진이 가까워지면서 대출 모집인을 통한 대출을 중단하고 있다. 비대면이나 지점 방문을 통한 대출은 가능하지만 통상 하반기엔 은행들도 대출 총량 관리 차원에서 대출금리를 높인다. 특히 은행권 변동형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등 변동금리의 산정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12개월 만에 상승 반전하고, 금융채 금리도 상승하면서 가산금리를 그대로 유지해도 금리가 오르는 추세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8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52%로 전월 2.49%보다 0.03%포인트(P) 올랐다. 코픽스 ...
기사 본문
"집값 뛸라"…기준금리 인하 늦춰지자 '시장 금리' 반등세 5대銀, 가계대출 금리 석달 연속 상승…예·적금 금리도 '들썩'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10.23/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지만, 시중 대출금리는 다시 꿈틀대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하락했던 '시장금리'가 반등세로 돌아서고 있기 때문이다. 금통위는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7월과 8월에 이어 세 번째 동결이다. 이번 결정의 배경에는 '집값'이 있다. 서울 등 수도권 주택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상황에서, 섣불리 금리를 내리면 투자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다. 이창용 한은 ...
기사 본문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하나은행, 정기예금 금리 0.05%p↑…카카오·케이뱅크도 올려 지난 서울에 한 부동산중개업소 인근에 설치된 은행 현금자동지급기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4분기 대규모 예·적금 만기가 돌아오면서 수신금리 경쟁도 치열해지자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줄줄이 올리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전날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55%에서 2.60%로 인상했다.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는 지난 7월 2.45%까지 떨어졌다가 9월 23일 2.50%로 올랐고, 이달에만 1일과 22일 0.05%포인트(p)씩 두 차례 인상됐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최고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55∼2.60% 수준이다. 최근 인터넷전문은행들도 예·적금 금리를 높이는 움직임을...
기사 본문
한은 기준금리 동결에 금융권별 대응 엇갈려 시민들이 서울의 한 은행 자동입출금기 앞을 지나고 있다./뉴스1 23일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연 2.5%로 동결한 가운데, 1금융권 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인상하고 나섰다. 기준 금리 인하 시점이 집값 상승 등으로 당초 예상보다 미뤄지면서, 은행채나 CD(양도성예금증서) 금리 등 시장 금리가 오름세로 전환한 데 따른 것이다. 반면 2금융권 예금 금리는 요지부동이라, 1금융권과 2금융권 사이 금리 격차는 0.1%포인트대까지 좁혀졌다. 이날 우리은행은 1년 만기 ‘WON플러스예금’ 상품 최고 금리를 연 2.55%에서 2.6%로 올렸다. NH농협은행은 1년 만기 ‘NH올원e예금’ 금리를 연 2.58%에서 2.59%로 상향 조정했다. 전날 하나은행도 1년 만기 ‘하나의정기예금’ 금리를 연 2.55%에서 2.6%로 올렸다. 이 은행들은 시장 금리가 오른 것을 반영해 예금 금리도 높였다고 설명한다. 1년 만기 은행채 금리는 지난 8월 14일 연 2.4...
기사 본문
하나銀, 정기예금 금리 0.05%p 인상 카카오·케이뱅크도 예·적금 금리 올려 서울 시내 주요 은행 ATM 창구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시장금리가 상승하자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잇달아 올리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전날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55%에서 2.60%로 높였다. 이 상품의 최고금리는 올 7월 2.45%까지 떨어졌다가 9월 23일 2.50%로 올랐고 이달 들어서는 1일과 22일 0.05%포인트(p)씩 두 차례 인상됐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 인상을 반영해 정기예금 금리를 0.05%p 올렸다"고 설명했다. 인터넷전문은행들도 최근 줄줄이 예·적금 금리를 높였다. 카카오뱅크(323410) 는 17일 정기예금과 자유적금의 1년 만기 금리를 0.10%p씩 올려 각각 2.60%, 2.80%로 조정했다. 케이뱅크도 15일 코드K정기예금 1년 만기 상품 금리를 2.50%에서 2.55%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