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기금·특별회계로 ‘소부장 도약’ 시동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정부,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공급망안정화기금 소부장 지원방안 경제안보품목 미포함 소부장 사업 우대 공급망안정화기금 소부장기업 지원 명확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제27회 반도체대전을 찾은 관람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뉴시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최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경제안보품목에 포함되지 않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연계사업에도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소부장 산업에 대한 공급망안정화기금 지원을 명확히 했다. 이를 통해 소부장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공급망 회복력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미중 패권경쟁, 미국 관세정책, 핵심 전략자원 확보 경쟁 등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더욱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핵심 품목의 특정국 의존도가 높아 소부장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단순한 위기 대응을 넘어 소부장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공급망 회복력 제고를 위한 도약이 필요한 시점”이라...
기사 본문
구윤철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 주재 비경제안보품목도 기금 우대금리 지원 소부장 특화단지 총 20곳 중점 육성 “30조 투자유치·40개 핵심기술 확보”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김형욱 기자] 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급망안정화기금 지원을 확대하고, 특화단지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정부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4차 소부장 경쟁력 강화위원회를 열고 ‘제2차 소부장 경쟁력 강화 기본계획(2026~2030)’과 ‘소부장 특화단지 종합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우선 소부장 특별회계의 재정지원 사업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경제안보품목이 아니더라도 공급망 안정화 효과가 큰 과제에 대해선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통해 우대금리(0.3~0.5%p) 등 금융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이차전지 핵심소재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R&D)은 특별회계로, 후속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은 기금으로 저리 지...
기사 본문
혁신·시장·생태계 등 3대 역량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도전기술 개발, 글로벌 선도 기업 육성, 생태계 역량 강화 소부장 특별회계 규모 확대…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 추진 [세종=뉴시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4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재부 제공) 2025.10.23.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공지능(AI), 탄소중립 등 산업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혁신·시장·생태계 역량 강화를 골자로 하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 강화 기본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소부장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소부장 수출액을 지난해 3637억 달러 수준에서 오는 2030년까지 4500억 달러로 끌어올리고 무역수지 규모 1125억 달러에서 1500억 달러, 생산액 1350조원 등을 달성한다...
기사 본문
경기 고양시 일산 키텍스에서 열린 '2025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에서 참관객이 LOP 등 전자부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5.9.1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뉴스1 정부가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4대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집중 투자에 나선다. 프로젝트당 200억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하는 15대 '슈퍼을(乙)'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소부장 특화단지 10곳을 추가 조성해 혁신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23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기본계획(2026~2030)을 발표했다. ━ 4대 핵심기술 선정, 집중 지원…'슈퍼을' 프로젝트 가동 ━ AI(인공지능)로 산업 전환이 가속화되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심화하면서 소부장 경쟁력 확보가 국가경제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