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금리 인하 기조 이어가되 부동산·환율 면밀히 점검"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28개
수집 시간: 2025-10-23 19:3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한국일보 2025-10-23 19:01:15 oid: 469, aid: 0000893568
기사 본문

한은, 연 2.5% 기준금리 3연속 동결 10·15 대책에 보조 맞추겠다는 취지 1440원 위협하는 환율도 불안 요소 '3개월 내 동결' 금통위원 의견 늘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열기에 기준금리가 한 번 더 묶였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3일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연 2.5%로 유지 하기로 결정했다. 금리인하 사이클에도 불구하고 7, 8월에 이어 세 차례 연속 동결이다. 지난주 정부가 가계대출을 꽉 조이는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자, 지금 금리를 내려 시장의 주택 가격 상승 기대를 부추기지 않겠다는 취지다. 하반기 들어 소비가 살아나며 내수가 회복세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도 양호한 점도 숨을 돌릴 시간을 줬다. 현재까지 경제 상황이 지난 8월 발표한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각각 0.9%, 1.6%)에 대체로 부합한다고 한은은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3 18:32:15 oid: 014, aid: 0005423855
기사 본문

한은, 하반기 세차례 2.5% 묶어 정부 부동산 수요 억제책과 공조 수도권 과열 안정돼야 인하 가능 전문가 "내년 1분기에나 내릴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또다시 동결했다. 정부의 부동산대책 효과가 가시화되지 않은 만큼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정책 완화 대신 숨고르기를 선택한 것이다. 금통위 내부에서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의견이 늘어난 가운데 올해 마지막(11월) 금통위가 5주가량 남은 시점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률 둔화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추가 금리인하는 내년 1·4분기로 밀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부동산 대책 효과 점검 우선 한은 금통위는 23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에 인하 사이클로 전환한 후 그해 11월과 올해 2월, 5월 등 모두 네 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했으나 하반기 들어서는...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3 18:38:37 oid: 003, aid: 0013554513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10.2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한국은행은 결국 기준금리에 손대지 못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 효과를 지켜봐야하고, 반도체 경기 호조에 수출이 회복세라는 점을 들어 인하 시점을 미뤘다. 채권시장은 대책 효과 확인을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데 다 11월 경제 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 상향 가능성이 추가 금리 인하 기대를 일부 밀어내며 약세를 보였다. 금통위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평가됐지만, 미국 관세 협상 지연 우려에 원·달러는 10원 가까이 급등해 6개월 래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한은 금통위는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과 같은 2.50%로 유지했다. 3회 연속 동결이다.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개선되는 상황에...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0-23 19:18:14 oid: 658, aid: 0000123714
기사 본문

집값·고환율 최우선 고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3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7, 8월에 이어 3차례 연속 동결이다. 올해 마지막 금통위가 열리는 다음 달에도 금리 인하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금통위는 이날 회의 의결문에서 “성장의 경우 전망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지만 소비·수출 중심으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고, 부동산 대책의 수도권 주택시장·가계부채 영향, 환율 변동성 등 금융안정 상황을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금통위는 6·27, 9·7 대책에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잡히지 않아 10·15 대책까지 나온 상황에서, 섣불리 금리를 낮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과 주택가격에 기름을 부을 이유가 없다고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3 14:06:29 oid: 001, aid: 0015696694
기사 본문

"정책 일관성 유지 중요…고통 따르더라도 전세 등 부동산 구조개혁해야" "환율 한 달 새 35원 올라…4분의 3은 관세 등 지역·국내 요인" 이창용 한은 총재, 기자간담회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23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우리나라 소득 수준과 사회적 안정을 고려할 때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우리 경제 성장률을 갉아먹는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23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은 불평등을 심화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주택을 투자 대상으로 보는 것이 사회적인 문제라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전세를 끊어내는 등 부동산 시장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동산 ...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3 16:28:26 oid: 421, aid: 0008558603
기사 본문

"금리인하, 경기부양보다 자산가격 올려…부동산값 가속화 위험" "수도권 집값, 버블 여부 떠나 사회적안정 유지하기에 너무 높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10.23/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서울·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버블 유무에 관계 없이 소득 수준·사회안정 유지에 과도한 수준"이라며 "이번에 금리를 인하했다면 부동산 가격을 가속할 위험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직후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는)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성장은 전망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부동산 대책의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영향, 환율 변동성 등 금융안정 상황도 좀 더 살...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0-23 16:58:18 oid: 366, aid: 0001116959
기사 본문

‘석 달 내 인하’ 5명→4명… “인하 조정 불가피” “부동산 가격 높은 수준… 성장세 둔화해야” ‘매파적 금통위’에 11월 금리인하 가능성 ‘뚝’ “집값 지켜봐야… 내년 1분기에 인하 재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하며 3회 연속 동결을 단행했다. 경기 둔화 우려로 금리 인하 필요성은 여전하지만, 수도권 집값 상승으로 인한 금융 불안이 발목을 잡았다. 3500억달러 규모 대미투자펀드를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1400원까지 치솟은 원·달러 환율도 영향을 미쳤다. 향후 금리 인하 전망은 한층 불투명해졌다. 총재를 제외한 금융통화위원 6명 중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위원은 5명에서 4명으로 줄었다. 금리 인하 기조가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하던 이창용 총재도 금융불안을 거론하면서 “인하의 폭과 시기가 조정됐다”고 평가했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내년 1분기에야 금리 인하를 재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준금리 2.50%로 동결… “부동산 과열·환율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3 11:04:34 oid: 277, aid: 0005668576
기사 본문

집값 급등·환율 불안 "금융안정이 먼저" 주택가격·거래량 진정돼야…10·15대책 효과 확인 필요 3500억달러 대미투자 불확실성…환율, 변동성 키우며 1430원 전후로↑ 경기 하방압력 여전, 11월 인하 전망 다수지만 가계부채·환율 상황 지켜봐야…내년 연기·인하 종료 의견도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불붙은 서울 주택가격 상승세를 진정시키기 위해 10·15 부동산 대책이 나온 직후인 데다, 3500억달러 대미투자 관련 불확실성으로 환율 불안이 커지면서 금융 안정에 무게가 실린 결정이다. 한은은 이달 금리를 유지한 채 10·15 대책의 효과를 확인하는 한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전후로 한중, 한미 관세 협상 상황 등을 지켜본다는 방침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주택가격·거래량 진정돼야…10·15대책 효과 확인 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