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더 가까워지는 브로맨스’···삼성, 테슬라 ‘AI5’ 칩도 만든다…자율주행 반도체 ‘전세대 생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 파운드리 점유율 확대 기회 머스크, TSMC와 공동생산 맡겨 삼성과도 장기 파트너십 가능성 문화일보 자료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가 테슬라의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칩 ‘AI5’를 생산한다. 이전 세대 칩인 ‘AI4’와 차세대 ‘AI6’ 등 테슬라의 자율주행 칩 전 세대를 생산하게 된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술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대만 TSMC가 장악하고 있는 시장 점유율을 늘릴 절호의 기회를 마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2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 발표회에서 “AI5 칩은 삼성전자와 TSMC가 모두 함께 작업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는 완전자율주행(FSD) 기능을 위해 AI4·AI5·AI6 등 자율주행용 AI 칩을 개발해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AI4는 현재 경기 평택시 삼성 파운드리 공장에서 양산되고 있다. 가장 최신형 칩인 AI6는 내년 가동 예정인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팹(공장)에서 2나노(10억분의 1m) 첨단공정을 활용해 만들 ...
기사 본문
'TSMC 대체' 삼성전자 파운드리 급부상 테슬라 장기계약 물량·엑시노스 칩 생산 중요 美 빅테크 추가 수주 이어지면 반등 가능성 [이데일리 김소연 임유경 기자] 테슬라가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인 AI5 생산도 삼성전자(005930)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 맡기겠다고 발표했다. 차세대 칩인 AI6에 이어 AI5 물량도 삼성전자에 일부 배정하면서 삼성 파운드리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테슬라와 협력 확대하는 삼성전자…AI5도 생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2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자사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질문을 받고 “AI5 세대 칩은 삼성전자와 TSMC가 모두 함께 작업할 것”이라고 했다. 머스크는 “현재 우리 AI4를 삼성전자가 훌륭하게 제조하고 있다”며 “우리는 AI5를 위해 TSMC(애리조나주)와 삼성(텍사스주) 모두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 테슬라는 삼성...
기사 본문
삼성전자가 대만 TSMC가 독점하던 테슬라의 자체 인공지능(AI) 반도체 칩 ‘AI5’ 생산에 참여한다. 지난 7월 테슬라로부터 약 23조 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 생산 공급 계약을 따낸 데 이어 3개월 만에 추가로 전해진 낭보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반도체 위탁 생산)의 부진 탈출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2일(현지시간) 테슬라 3분기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반도체 칩 생산을 위한 삼성전자와의 계약 관련 질문을 받고 “삼성전자와 TSMC 모두 AI5 작업을 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테슬라 AI4 세대 칩을 생산해왔다. 현재 개발 단계인 차세대 칩 AI5는 TSMC가 먼저 대만에서 생산한 뒤 향후 미국 애리조나에서 제조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었다. 테슬라가 자체 개발한 AI 칩은 테슬라 차량의 완전자율주행(FSD)는 물론 휴머노이드 로봇, 슈퍼컴퓨터 등에 활용된다. 블룸버그통신은 머스...
기사 본문
삼성전자가 테슬라의 자체 인공지능(AI) 칩 AI5 생산에도 참여하면서 양측간 밀월 관계가 강화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AI4, AI6에 이어 AI5까지 테슬라의 자율주행 칩 전 세대 생산에 참여하게 되면서다. 단순한 물량 확대를 넘어 삼성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가 기술력과 신뢰도 측면에서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2일(현지시간) 테슬라의 3분기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차세대 반도체 칩 생산에 대해 “삼성전자와 TSMC 모두 AI5 작업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AI5는 당초 대만의 TSMC로 전환된 뒤 AI6부터 다시 삼성전자가 맡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머스크 CEO가 삼성전자도 추가로 합류시킨 것이다. 삼성전자는 현재 경기도 평택 공장에서 AI4를 양산 중이다. AI6는 내년 하반기 가동 예정인 미국 텍사스 테일러 팹에서 최선단인 2㎚(나노미터·10억분의 1m) 최첨단 공정으로 전량 생산할 예정이다. 여기에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