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도약 이끌 차세대 인재 발굴·지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3일 킨텍스에서 열린 2025 ADEX와 연계해 '2025 항공우주논문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KAI가 23일 킨텍스에서 2025 항공우주논문상 시상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KAI] 항공우주논문상은 항공우주 분야 연구 활성화와 인재 양성을 위해 2003년부터 개최되고 있으며 올해로 23회째를 맞았다. 올해는 KAI의 주요 추진 사업과 관련하여 기계, 소재·공정, 전자·전기, SW 4개 주제로 공모를 진행했으며 총 7편의 논문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 최우수상은 서울대학교 김다빈 학생(우주항공청장상)의 '시야 제약 환경에서 초소형 무인항공기의 실시간 가시성 기반 경로계획'과 건국대학교 김영진 학생(KAI CEO상)의 '다중 조화 제어 및 유체-구조 연계 해석을 통한 고속 복합형 동축 반전 회전익기의 능동적 진동 저감 연구' 논문이 수상했다. 논문 공동...
기사 본문
재진입 비행체 개발 기술 협력 업무협약 체결 김지홍(왼쪽)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전무와 이대우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23일 일산 킨텍스에서 ‘우주모빌리티 사업화를 위한 재진입 비행체 개발 기술협력’ 업무협약(MOU) 체결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KAI [서울경제] 한국항공우주(047810) 산업(KAI)가 부산대학교와 ‘우주모빌리티 사업화를 위한 재진입 비행체 개발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김지홍 KAI 미래융합기술원 원장과 이대우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KAI와 부산대는 업무협약을 통해 재진입 비행체 개발사업 탐색 연구, 재사용 우주비행체 연구, 재사용 발사체 연구 개발 등 국내외 시장에서 상업화할 수 있는 우주모빌리티 핵심 기술 개발을 협력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대...
기사 본문
“우주사업 경제성 확보 위한 핵심 기술 고도화 기대” KAI가 부산대와 23일 ‘우주모빌리티 사업화를 위한 재진입 비행체 개발 기술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KAI 김지홍 전무, 부산대 이대우 교수. KAI 제공 KAI(한국항공우주산업)는 부산대와 23일 ‘우주모빌리티 사업화를 위한 재진입 비행체 개발 기술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KAI 미래융합기술원 김지홍 원장과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이대우 교수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KAI와 부산대는 업무협약으로 △재진입 비행체 개발사업 탐색 연구 △재사용 우주비행체 연구 △재사용 발사체 연구 개발 등 국내외 시장에서 상업화할 수 있는 우주모빌리티 핵심 기술 개발을 협력할 예정이다. 이대우 교수는 대기권 재진입 비행체의 유도·비행 제어와 궤적 설계·해석 등의 핵심 기술 연구를 지속적으...
기사 본문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3일 KINTEX에서 열린 2025 ADEX와 연계해 ‘2025 항공우주논문상’시상식을 개최했다. KAI가 주최하고 우주항공청, 한국항공우주진흥협회, 항공우주학회가 후원하는 항공우주논문상은 항공우주 분야 연구 활성화와 인재 양성을 위해 2003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올해로 23회째를 맞았다. 이번 시상식에는 KAI 차재병 대표이사 부사장, 우주항공청 최승철 문화인력양성과장, 한국우주항공산업협회 김민석 부회장, 한국항공우주학회장 구남서 부회장, 한국항공우주소년단 홍순택 사무총장을 비롯해 교수 및 수상자들이 참석했다. 올해는 KAI의 주요 추진 사업과 관련해 총 7편의 논문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논문 공동 심사를 진행한 학회 측은 이번 최우수상 논문에 대해“이론적으로 학술 가치가 높으며 동시에 타당한 연구방법을 통해 실험적으로도 검증되어 실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며 “향후 실무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