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추가 부동산 대책 효과 점검해야”[통화정책방향 전문]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0개
수집 시간: 2025-10-23 15:18:3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매일신문 2025-10-23 14:56:09 oid: 088, aid: 0000976953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3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작년 10월과 11월 연속 인하 이후, 올해 들어서도 2·5월 두 차례 금리를 내렸지만, 7월과 8월에 이어 이번까지 세 차례 연속 '동결'을 선택했다. 경기 부양보다는 부동산 시장 과열과 환율 불안을 우선 고려한 결정이다. 정부가 연이어 내놓은 6·27, 9·7, 10·15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 아파트값은 꺾이지 않았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2주 전보다 0.54% 상승하며 오름폭이 더 커졌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축소한 데 이어, 정부는 서울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15억 원 이상 고가주택의 대출 한도를 2억~4억 원으로 제한하는 등 고강도 규제를 내놨다. 이런 상황에서 한은이 추가로 금리를...

전체 기사 읽기

강원일보 2025-10-23 15:04:08 oid: 087, aid: 0001149985
기사 본문

정부 부동산 억제책과 공조, 1,430원대 환율도 부담 금통위 “인하 기조 유지하되 금융안정 등 봐가며 시기 결정” 한국은행이 23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지난 7월과 8월에 이은 3연속 동결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올 상반기에도 네 차례 회의 중 2·5월 두 차례 0.25%p씩 인하로 완화 기조를 이어갔다. 건설·소비 등 내수 부진과 미국 관세 영향 등에 올해 경제성장률이 0%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자 통화정책의 초점을 경기 부양에 맞춘 결과다. 그러다가 하반기 7·8월에 이어 이번까지 3차례 연속 금리를 묶은 것은 무엇보다 부동산 시장이 매우 불안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책에도 집값 상승폭이 더 커졌다. 또 미국 관세 협상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1,430원대를 넘나드는 등 최근 불안한 환율 흐름도 금리 동결의 주요 근거가 됐다. 아울러 반도체 등 수출 호조와 주식 등 자산 가격 상승에 따른 소비심리 회...

전체 기사 읽기

YTN 2025-10-23 14:48:03 oid: 052, aid: 0002263428
기사 본문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늘(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존 연 2.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기준금리는 지난 2월과 5월 두 차례 0.25%p씩 인하된 뒤 3연속 동결됐습니다. 이번 금리 결정에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5명은 동결, 1명은 인하 의견을 냈습니다. 금통위는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의 영향과 환율 변동성 등을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가계부채 위험은 많이 사라진 것 같다면서도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금방 꺾어질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고 유심히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4명은 앞으로 3개월 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을 냈고 나머지 2명은 동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습니다. 기준금리가 연 2.5%로 묶이면서 한미 금리 차는 1.75%p로 유지됐습...

전체 기사 읽기

조세일보 2025-10-23 10:00:22 oid: 123, aid: 0002370415
기사 본문

정부 ‘10·15 주택시장 안정화’ 정책과 보조 맞춘 결정 3500억달러 한미 무역협상·통화스와프 미결, 외환건전성 불안 확대 등 고려 전문가 “물가·성장률만 보면 인하 타당…‘금융안정’ 우선” “환율·부동산 진정되면 11월 인하 가능성 열릴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10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물가상승률이 안정권에 접어들고 경기성장률이 1%를 밑돌 전망이지만 한은은 이번에도 '금융안정'에 무게를 뒀다. 한미 간 무역협상·통화스와프 체결 여부가 불확실한 가운데 외환시장이 불안하고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 대책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금리인하'가 자칫 시장의 혼선을 키울 수 있다고 판단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한은 금통위는 28일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 결정했다. 국내 경제성장률은 올해 0.9% 수준, 물가상승률은...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23 15:52:11 oid: 119, aid: 0003015905
기사 본문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연 2.50% 동결…25bp인하 소수 의견도 이창용 "수도권 집값 오름세 확인…부동산 대책 영향 점검해야" 내달 27일 올해 마지막 통방…전문가 "집값 안 잡히면 인하 어려워" "금리 인하, 환율·부동산 안정 전제돼야…올해 동결로 마무리될 듯"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다.ⓒ한국은행 [데일리안 = 박상우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하며 또 한 번 '숨 고르기'에 나섰다.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가계부채 부담과 부동산시장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을 고려한 결정이다. 23일 한국은행 금통위는 서울 중구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지난 5월 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한 후 7월과 8월에 이어 이달까지 세차례 연속 동결이다. 신성환 금통위원은 기준금리를 2.25%로 인하해야...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3 15:37:57 oid: 003, aid: 0013553857
기사 본문

한은 10월 금통위 기자간담회 2.5% 동결에도 신성환 위원 인하 의견 3개월 내 전망 인하 5명서 4명으로 축소 부동산 대책 효과·환율 변동성 지켜봐야 "인하 속도·폭 조정…성장도 고려할 것"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2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한국은행은 결국 10월에도 기준금리를 조정하지 않았다. 금융통화위원회는 부동산 시장 불안과 고환율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2.5%로 6개월째 동결했다.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개선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부동산 대책 효과와 환율 변동성 등 금융 안정 상황을 좀 더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정부의 부동산 대책 효과를 판단해야 한다는 점에서 인하 속도와 폭에 대한 시기가 조정됐다고 언급했다. 아울...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23 16:06:14 oid: 011, aid: 0004546937
기사 본문

금통위원 6명 중 5명 '동결'의견 이창용, 금리 인하 기조는 유지 "부동산 급등 성장률 갉아먹어"비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서울경제] 한국은행이 23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지난 7·8월에 이어 세 번 연속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이 급등하는 상황에서 금리를 내렸다가 자칫 부동산과 외환시장 모두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은 저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 인하 기조는 유지한다는 방침이지만 집값과 환율 불안에 내년 상반기로 인하 시기가 밀릴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이후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가계대출은 증가폭이 축소됐으나 수도권 주택시장에서의 가격 상승세와 거래량이 확대됐고 최근 환율 변동성이 커졌다”며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12월...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23 15:28:18 oid: 028, aid: 0002772457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운데)가 23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집값과 환율 불안에 방점을 찍고 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한은은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지만, 시장에서는 통화 완화 사이클이 조기에 종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3일 정례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2.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지난해 10월부터 통화정책 방향을 완화(금리 인하) 기조로 전환해 지난 5월까지 모두 네 차례(1.00%포인트) 기준금리를 내렸는데, 7·8월에 이어 10월 회의에서 세 차례 연속 금리를 묶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부동산 대책의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영향, 환율 변동성 등 금융 안정 상황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집값이 다시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