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반등’ 테슬라, R&D 비용 급증에 수익성 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파이낸셜뉴스 뉴욕=이병철 특파원 】 테슬라가 3·4분기 매출 28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 증가하며 두 분기 연속 감소세를 끝냈다. 그러나 인공지능(AI) 및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에 따른 비용 증가와 차량 가격 인하 영향으로 순이익은 37% 급감했다. 테슬라는 22일(현지시간) 실적 발표를 통해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0.50달러로, 시장 예상치(0.54달러)에 못 미쳤다고 밝혔다. 총매출은 281억 달러로 예상치(263억 7000만 달러)를 웃돌았다. 이 가운데 자동차 부문 매출은 212억 달러로 전년보다 6% 늘었으며, 에너지 저장·생산 부문 매출은 44% 급증한 34억 2000만 달러를 기록해 최대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 순이익은 13억 7000만 달러(주당 0.39달러)로, 전년 동기(21억 7000만 달러·0.62달러)보다 크게 줄었다. 회사는 "AI 및 기타 R&D 프로젝트 관련 비용이 증가하면서 영업비용이 50% 늘었다"고 설명했다. 3·4분기 실적에는...
기사 본문
올 3분기 역대 최대 매출액·잉여현금흐름 달성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7% 급감 AI 등 R&D 투자 늘며 영업비용 50% 증가 테슬라가 올 3분기에 사상 최대 규모의 분기 매출액을 올리고도 순이익은 시장 전망치에 미달했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22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하고 주가가 3% 이상 하락했다. 올들어 테슬라 주가 추이/그래픽=김지영 테슬라는 이날 장 마감 후 올 3분기 매출액이 281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팩트셋이 애널리스트들을 대상을 조사한 전망치 265억달러를 웃도는 것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테슬라의 올 3분기 전기차 인도량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49만7099대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영향이다. 올 3분기 자동차 부문 매출액은 212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 늘며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196억달러를 상회했다. 자동차 부문에서 탄소 규제 크레딧 매출액은 4억17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 도...
기사 본문
LG엔솔·삼성SDI·에코프로 등 하락 [서울경제] 테슬라가 3분기 매출 상승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는 순이익을 냈다고 발표했다. 발표 후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하락했다. 이미지=제미나이 생성 테슬라가 22일(현지시각) 올해 3분기 시장 예상을 하회하는 순이익을 발표하고 주가가 하락 마감하자 국내 증시에서도 2차전지 관련 종목들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32분 기준 에코프로(086520) 주가는 전일 대비 5.49% 하락한 8만 2600원을 나타내고 있다. 같은 시각 LG에너지솔루션(373220) (-1.98%),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3.47%), 삼성SDI(006400) (-1.14%), 에코프로비엠(247540) (-2.72%), 엘앤에프(066970) (-2.58%) 등이 일제히 하락세를 기록중이다. 간밤 테슬라는 뉴욕증시 장 마감 후 3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매출은 시장조사 업체 LSEG가 집계한 월스...
기사 본문
[오늘 주목되는 미국 주식시장] 테슬라가 22일 장 마감 후(한국시간 23일 오전 5시 이후) 올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배런스는 테슬라의 올 3분기 매출액과 순이익이 모두 시장 컨센서스를 웃돌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하지만 테슬라의 이 같은 실적 비트(beat)에 투자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미지수다. 테슬라의 주가는 지나간 실적보다 향후 전기차 판매 전망과 자율주행차 호출 서비스인 로보택시 확대, 휴머노이트 로봇인 옵티머스 출시 시기 등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최근 1년간 테슬라 주가 추이/그래픽=김지영 ━ 3분기 매출액, 컨센서스 상회할 듯 ━ 팩트셋이 애널리스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테슬라는 올 3분기에 272억달러의 매출액에 주당 0.55달러의 조정 순이익을 올렸을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액 전망치는 전년 동기 대비 8%, 전 분기 대비 17% 늘어난 것이다. 조정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는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것이지만 전 분기에 비해서는 38%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