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부동산 상승이 한국 잠재성장률 갉아먹어”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4개
수집 시간: 2025-10-23 14:08:1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조선일보 2025-10-23 12:04:13 oid: 023, aid: 0003936352
기사 본문

“서울 집값, 사회 안정 유지하기엔 너무 높은 수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10.23.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세 제도를 끊어내는 등 고통이 따르더라도 부동산 구조 개혁을 해야 한다”며 “그 과정에서 예를 들어 월세 세제 혜택을 준다든지 정책으로 고통받는 사람을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 총재는 국내 부동산 시장에 대해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주택 가격이 현재 마치 자산처럼 여겨지지만 사실은 주거 비용 때문에 (한은이 통화 정책을 결정할 때) 보는 것이다”라며 “...

전체 기사 읽기

JTBC 2025-10-23 12:58:15 oid: 437, aid: 0000461527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서울 등 수도권 부동산 가격에 대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오늘(23일) 이 총재는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총재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 불평등도도 높이고 있다"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 총재는 또 "인플레이션 타겟팅(목표 수준 달성)처럼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금리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총재는 "부동...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0-23 12:22:11 oid: 079, aid: 0004078226
기사 본문

"서울·수도권 부동산 가격, 소득 등 고려해 너무 높아" "부동산가격 상승, 한국 성장률 갉아먹어…구조개혁 계속 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 불평등도 높이고 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3 12:14:06 oid: 016, aid: 0002546278
기사 본문

이창용 총재, 23일 기자간담회에서 강조 “과거 유동성이 자산 가격 올리고 있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집값이 잡히지 않는다고 계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채 기다릴 수는 없다고 부연했다. 저성장 상황 속 경기 부양 요인도 통화당국이 놓칠 수 없는 주요 책무 중 하나라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금리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며 “인플레이션처럼 표적화할 수 있는 문제...

전체 기사 읽기

MBN 2025-10-23 12:29:06 oid: 057, aid: 0001914718
기사 본문

오늘 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2.50% 동결 "금리정책으로는 부동산 가격 완벽 조절 못 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있다. 2025.10.23 /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가운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며 "서울·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과 사회적 안정 유지 측면에서 너무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금통위 본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 불평등도도 높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특히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3 12:21:00 oid: 032, aid: 0003403929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부동산 자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기준금리 동결 발표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오르는 건 불평등도를 높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게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수도권 집값 상승세를 우려해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다만 이 총재는 “금리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며 “인플레이션 타깃팅(목표 수준 달성)처럼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물가는 우리가 주도권을 잡고 정책...

전체 기사 읽기

MBC 2025-10-23 12:52:31 oid: 214, aid: 0001456834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수도권 집값이 너무 높고, 주택 가격이 마치 자산 가격처럼 인식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총재는 오늘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것과 관련해 연 기자간담회에서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는 게 아닌가 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총재는 또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가는 건 불평등도를 높이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총재는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BC 2025-10-23 12:50:57 oid: 214, aid: 0001456833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총재는 오늘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것과 관련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부동산 가격은 근원 물가보다도 훨씬 더 많은 사회적인 요인 등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한국은행이 마치 금리를 통해서 부동산 가격을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나 그렇게 해야 한다고 하는 생각이 전제가 되면 큰 혼선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은이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하다가, 정부 규제 때문에 부동산이 소강상태를 보일 때 금리를 내리고 나면 그 이후 다시 부동산 가격이 과열될 위험도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한 겁니다. 이 총재는 금리 조정과 관련해 현재의 동결 상태를 "부동산 가격이 높으면 계속 기다린다는 것은 아니다"며 "경기도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약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올라가고 있는데 경기가 폭락해버리면, 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다고 부연했습니다....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