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총재는 오늘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것과 관련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부동산 가격은 근원 물가보다도 훨씬 더 많은 사회적인 요인 등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한국은행이 마치 금리를 통해서 부동산 가격을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나 그렇게 해야 한다고 하는 생각이 전제가 되면 큰 혼선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은이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하다가, 정부 규제 때문에 부동산이 소강상태를 보일 때 금리를 내리고 나면 그 이후 다시 부동산 가격이 과열될 위험도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한 겁니다. 이 총재는 금리 조정과 관련해 현재의 동결 상태를 "부동산 가격이 높으면 계속 기다린다는 것은 아니다"며 "경기도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약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올라가고 있는데 경기가 폭락해버리면, 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다고 부연했습니다....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서울 등 수도권 부동산 가격에 대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오늘(23일) 이 총재는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총재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 불평등도도 높이고 있다"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 총재는 또 "인플레이션 타겟팅(목표 수준 달성)처럼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금리로 부동산 가격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총재는 "부동...
기사 본문
"서울·수도권 부동산 가격, 소득 등 고려해 너무 높아" "부동산가격 상승, 한국 성장률 갉아먹어…구조개혁 계속 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 불평등도 높이고 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기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수도권 집값이 너무 높고, 주택 가격이 마치 자산 가격처럼 인식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총재는 오늘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것과 관련해 연 기자간담회에서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는 게 아닌가 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총재는 또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가는 건 불평등도를 높이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총재는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