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통화스와프보다 3,500억 달러 구성에 초점”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8개
수집 시간: 2025-10-23 11:35:4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KBS 2025-10-23 10:12:55 oid: 056, aid: 0012052247
기사 본문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통화스와프 보다는 3천500억 달러를 어떻게 구성할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한미 관세협상 상황을 전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어젯밤 공개된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현금·대출·보증이 혼합된 균형잡힌 투자의 구성을 협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통화스와프 등 외환시장 안전판이 필요할지는 이 구조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등 미국 정부는 3천500억달러를 선불로 투자해야 할 경우 한국 외환시장이 충격을 받을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헤럴드경제 2025-10-23 10:07:10 oid: 016, aid: 0002546079
기사 본문

3500억달러 선불투자, 美도 충격가능성 인식 日보다 높은 자동차관세 트럼프에 적극 언급 원화 약세는 “협상 진행에 따른 불확실성 반영”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면담을 한 후 나오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한미 양국이 350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둘러싸고 막바지 협상에 돌입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회동을 갖고 남은 쟁점을 논의했다. 김 실장은 협상 직후 “많은 이야기를 나눴고 일부 진전이 있었다”며 “잔여 쟁점은 한두 가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공개된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이번 협상은 통화스와프 체결 여부보다 투자 구조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3 08:55:46 oid: 003, aid: 0013552216
기사 본문

구윤철 경제부총리, 블룸버그TV와 인터뷰 "美, 대규모 先투자시 한국 시장 충격 인식" "통화스와프 필요성 규모 투자구조에 달려" "통화스와프 필요 없을수도, 소규모 가능성" [서울=뉴시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2025.10.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500억 달러(약 501조원) 대미 투자와 관련해 "한미 양국이 통화스와프보다는 투자 구조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윤철 부총리는 전날(22일) 공개된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등 미국 당국자들도 대규모 선(先)투자 방식이 한국 외환시장에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구 부총리는 "베센트 장관은 한국 외환시장의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도...

전체 기사 읽기

여성신문 2025-10-23 10:01:13 oid: 310, aid: 0000130577
기사 본문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현지시각)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난 뒤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이 경주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22일(현지 시각) 워싱턴DC에서 막바지 무역협상을 벌였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한미 무역합의의 잔여 쟁점을 놓고 2시간 가량 협상을 벌였다. 김 장관과 김 실장은 지난 16일 같은 장소에서 같은 인물(러트닉)과 협상한지 불과 6일만에 다시 미국을 방문해 협상을 했다. 김 실장은 협상후 기자들에게 "남아있는 쟁점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며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했지만 잔여 쟁점에 대해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마지막 쟁점이 조율됐느냐 특파원들 질문에 "쟁점이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한 두개라고 그랬고, 아주...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