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헤지펀드 “LG화학 저평가 됐다” 주장에 장중 ‘불기둥’ [종목Pick]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2개
수집 시간: 2025-10-23 11:0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0-22 10:00:08 oid: 016, aid: 0002545411
기사 본문

팰리서캐피탈 “LG화학, 국내 대기업 가운데 가장 저평가” 여천NCC와 롯데케미칼, LG화학 공장 등이 입주한 여수 석유화학단지.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주희 기자] LG화학 주가가 22일 장 초반 신고가를 기록했다. 영국의 한 헤지펀드가 국내 대기업 가운데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등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9분 현재 LG화학은 전 거래일 대비 10.26% 오른 38만1500원에 거래 되고 있다. 개장 직후 10.40% 오른 38만20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는 헤지펀드 팰리서캐피탈이 “LG화학 주식이 국내 대기업 가운데 가장 저조한 수준인 순자산가치(NAV) 대비 74% 할인된 주가에 거래되고 있으며, 69조원(483억달러) 규모의 가치 격차가 존재한다”며 주가가 저평가됐다고 밝힌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팰리서캐피탈은 LG화학에 대해 국내 시가총액 3위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 지분 79%의 가치가 모회사 시가총...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22 17:46:13 oid: 009, aid: 0005577347
기사 본문

LG화학에 "주주이익 높여라" 요구 英펀드 단독 인터뷰 LG엔솔 지분율 81.8%달해 분할매각해 자금 활용해야 주주가치 제고 1단계로는 독립적인 특별위원회 설치 경영권확보 전략 고려안해 LG화학을 상대로 주주가치 제고 행동에 나선 팰리서캐피털(이하 팰리서)이 4단계에 걸친 안을 제시했다. 제임스 스미스 팰리서 창업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사진)는 22일 매일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우선 조치로 'LG화학 주주가치 제고 계획'을 추진할 위원회 설치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주주총회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우선 이사회에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자신들의 안을 검토하라는 것이다. 그는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 독립적인 특별위원회가 시장과 소통하며 가치 제고안을 이끌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팰리서는 이사진 개편, 경영진 대상 주가보상제, 장기적인 주가관리 프로그램 등을 내놨다. 인터뷰에서 스미스 CIO가 가장 무게를 둔 것은 LG화학이 보유 중인 LG에너지솔루션의 지분을 활용(매각·담보)한 LG화학...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22 17:34:08 oid: 011, aid: 0004546478
기사 본문

팰리서캐피털 "주가 74% 저평가" 자사주 매입 등 4대 개편안 제시 LG화학 대산사업장 전경. 사진 제공=LG화학 [서울경제] 영국의 행동주의 펀드 팰리서캐피털이 LG화학(051910) 에 이사회 개편과 자사주 매입 등을 요구하며 주주행동주의에 본격 나섰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팰리서캐피털은 전날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5 액티브·패시브 투자자 서밋’에서 LG(003550) 화학의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제언을 발표했다. 팰리서캐피털은 LG화학의 지분을 1% 이상 보유한 주주라고 소개하면서 네 가지 개편안을 제안했다. 먼저 이사회 구성을 개편하고 주주 이익에 부합할 수 있도록 경영진에 대한 보상 제도를 수정해야 한다고 했다. 현재 이사들은 경영 전문성과 자본 배분 경험이 부족한 학계 출신 인사들로 구성돼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수익률을 지향하는 강력한 자본 배분 체계 시행, LG에너지솔루션(373220) 지분을 활용한 자사주 매입, 장기적인 주가 저평가 관...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3 08:56:43 oid: 008, aid: 0005266938
기사 본문

10월 LG화학 주가 추이./그래픽=김지영 NH투자증권이 LG화학을 향한 영국계 행동주의 펀드 팰리서 캐피털의 기업가치 제고 요구에 대해 LG화학이 자산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최영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보고서에서 "최근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전기차(EV) 수요 둔화에 따른 업황 부진을 벗어날 수 있는 돌파구로 부각되는 중"이라며 "LG화학의 양극재 케미스트리는 리튬인산철(LFP)이 아닌 니켈코발트망간(NCM)으로 직접적 수혜는 없지만 ESS 배터리 판매 증가가 예상되는 LG에너지솔루션의 지분가치 상승에 따른 간접적 수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LG화학이 보유한 LG에너지솔루션 지분가치에 대해선 중복상장에 따른 할인이 불가피한데,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권고안을 제시한 점은 비효율적으로 배치된 자산의 효율적 활용 가능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할인율 축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최 연구원은 "중장기 관점에...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