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조지아 주지사 오늘 방한…'구금사태' 현대차·LG엔솔 만난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사태 여파·향후 투자 논의 예상 SK온 등 현지 투자기업과도 회동 브라이언 캠프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 연합뉴스 [서울경제] 23일 한국을 찾는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가 현지에 공장을 두고 있거나 투자 중인 국내 기업들과 잇따라 회동한다. 특히 이민 단속으로 대규모 한국인 구금사태가 벌어졌던 현대차(005380) 그룹- LG에너지솔루션(373220) 합작 배터리 공장 사건과 관련해 캠프 주지사는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과 만나 사태 여파와 향후 투자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22일 재계에 따르면 켐프 주지사는 23일 오후 현대차그룹 장재훈 부회장과 만나 배터리 합작공장 구금 사태 여파와 앞서 합의한 투자 및 고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 24일에도 만찬 회동을 갖고 같은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것으로 알려졌다. 켐프 주지사는 24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와도 면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자리에서도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의 차...
기사 본문
美구금사태 이후 투자방안 논의 24일엔 만찬...협력구상 나설듯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과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가 23~24일 잇따라 회동하며 현지 투자 방안을 협의한다. 22일 외교가와 재계에 따르면 장 부회장은 23일 오후 켐프 주지사와 만나 조지아주 엘러벨에 있는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직원 구금 사태 이후 투자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 24일에는 만찬 회동에 나서며 현지 투자·고용 계획과 관련해 의견을 나눈다. 지난달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은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300명이 넘는 한국인을 체포·구금했다가 8일만에 석방했다. 이번 사태로 국내에선 현대차의 미국 내 사업 확장을 중단하라는 요구가 거세졌다. 미 정부의 기습 단속에 핵심 인력들이 작업에 나서지 못하며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은 완공이 2~3개월 지연될 전망이다. 장 부회장과 켐프 주지사는 구금 사태 이후 투자, 고...
기사 본문
“합법적 90일 단기체류 시급 구금 피해자들에 깊은 위로”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지사 [연합뉴스] 지난달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와 관련해 조지아주가 연방정부에 새로운 비자 도입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보다 대폭 간소화한 ‘제조업 비자(Manufacturing Visa)’를 도입해 한국 기업의 애로를 해소하자는 취지다. 23일부터 사흘간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사진)는 출국 직전인 21일(현지시간) 매일경제와 전화 인터뷰를 하면서 조지아주 구금 사태에 대해 “피해를 입은 근로자와 한국민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켐프 주지사는 한국의 숙련된 인력이 미국 현지에서 제조 시설 구축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제조업 비자를 도입하는 방안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논의했다고 전했다. 그는 제조업 비자에 대해 “한국 근로자들이 제조업 분야에서 최장 90일 정도 단기 체...
기사 본문
지난해 6월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조지아의 밤' 행사에서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왼쪽 세 번째)과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 부부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뉴스1 이번 주 미국 조지아주·테네시주·몬태나주 등 주지사들이 잇달아 방한해 기업들과 만난다. 한국 기업이 대미 투자의 ‘큰손’이 된 만큼 통상적으로 주 정부가 투자 유치 러브콜을 보내는 자리지만, 올해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지난달초 있었던 조지아주 구금 사태 영향이다. 기업들은 미 관세 정책과 보조금 축소 우려, 강경 이민 정책 등 다양한 리스크를 고려해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입장이다. 22일 재계 등에 따르면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는 오는 23~25일 방한해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SK온·CJ푸드빌 등 조지아주에 생산기지를 둔 기업들을 만난다.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이석희 SK온 사장 등 경영진과 면담할 전망이...
기사 본문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 주지사가 23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호텔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제조업 비자(Manufacturing Visa) 도입 필요성을 잘 이해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유럽, 캐나다 등 주요 제조 투자국들의 현실을 알고 있고,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23일 서울 용산구의 한 호텔에서 만난 브라이언 켐프(61) 미국 조지아 주지사는 중앙일보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나누면서 논의한 ‘제조업 비자’ 구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제조업 비자는 지난 9월 미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체포·구금사태 이후 켐프 주지사가 내놓은 해법이다. 켐프 주지사는 사태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중앙일보 기자와 단독 인터뷰를 가졌다. 켐프 주지사는 “미국 내 제조 공장에서 단기간 체류하며 장비 설치·교육을 담당하는 숙련 기술자들이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체류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조업...
기사 본문
'근로자 구금' 49일만에 방한 피해 점검·세제지원 등 논의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가 3월 26일(현지 시간)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서울경제] 한국을 방문한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가 현대차(005380) 와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온 최고경영자(CEO)와 잇따라 만난다. 지난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조지아주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구금·체포 사태가 일어난 지 49일 만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켐프 주지사는 이날 현대차그룹을 방문해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과 성 김 사장 등을 만났다. 양측은 구금 사태에 따른 공장 건설 지연 등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완공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장 인허가 및 세제 지원 등 주정부 차원의 지원 문제에 대한 얘기도 오갔을 것으로 관측...
기사 본문
미국 조지아·테네시주 주지사 방한… 양국 협력 강화 방안 논의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가 지난 2월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립건축박물관에서 열린 공화당 주지사협회 만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조지아주와 테네시주 주지사가 한국을 찾았다. 지난달 발생한 조지아 HI-GA 배터리컴퍼니(현대차·LG엔솔 합작 배터리 공장) 구금 사태 이후 첫 방한이다. 이들은 방한을 계기로 국내 주요 기업과 회동을 진행,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는 이날 오후 1시쯤 현대차그룹을 본사를 방문해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성김 현대차그룹 사장 등을 만났다. 양측은 HI-GA 배터리컴퍼니 단속으로 인한 공장 건설 지연 등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켐프 주지사는 현대차그룹 주요 관계자를 비롯한 한국 기업인들과 저녁 만찬을 갖는다. 24일에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배터리업체들과 회동...
기사 본문
23일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만나 배터리 공장 단속 사태 수습 및 재발 방지 논의한 듯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들이 잇달아 투자하고 있는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가 방한해 현대차그룹 수뇌부와 회동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 주지사 일행은 이날 오후 현대차그룹을 방문해 장재훈 부회장, 성 김 사장 등을 만났다.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가 23일 자신의 SNS에 한국에 도착했다는 소식을 알리고 있다. 켐프 주지사와 장 부회장 등은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내에 있는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 ‘HI-GA 배터리컴퍼니’ 단속 사태 이후 수습 방안과 함께 비자, 투자 등 다양한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이 HI-GA 공사 현장을 급습하며 300명이 넘는 한국인이 체포 구금됐다. 한국인 근로자들은 8일 만에 석방됐지만 완공 일정이 2~3개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