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3분의 2, 고소득층이 받아가…저소득층 ‘대출 소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의 한 은행 영업점에 전세자금대출 금리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뉴스1 전세대출이 고소득층 중심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전체 전세대출 잔액의 약 3분의 2가 상위 소득층에 몰린 반면, 저소득층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고소득 차주가 받은 전세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를 차지했다. 이는 무주택 저소득층이 전세대출을 주로 이용한다는 인식과 상반되는 결과다. 소득 상위 30%의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2021년 61.2%에서 2024년 1분기 62.8%로 꾸준히 상승했고, 올해 들어 65%를 넘었다. 차주 수 기준으로도 2021년 49.8%에서 올해 2분기 54.6%로 증가했다. 반면 저소득층의 전세대출 비중은 하락세를 보였다. 소득 하위 30% 차주가 받은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2021년 9.1%에서 올해 2분기 7.6%로 감소했다....
기사 본문
서울 아파트 전경. 독자제공 전세대출의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소득 상위 30% 고소득층의 전세대출 잔액 비중이 65%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차주 수 기준으로도 50%를 훌쩍 넘겼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다. 특히 소득 상위 30%의 고소득층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등으로 차츰 늘다가 올해 1분기 말 64.6%로 크게 뛰었다. 올해 2분기 들어 65%를 넘었다. 차주 수 기준으로도 2021년 1분기 말 49.8%로 절반 이하였으나, 2022년 1분기 말 50.9%, 2023년 1분기 말 51.8%, 2024년 1...
기사 본문
소득 상위 30%가 전세대출 65.2% 차지…하위 30%는 7.6% 野 박성훈 "무주택 서민 등 월세로 내몰리는 악순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전세대출 제도의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최근 전체 전세대출 잔액의 3분의 2가 고소득층에 집중된 가운데 저소득층 비중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다. 무주택 저소득층이 자구책으로 전세대출을 찾는 경우가 많다는 세간의 고정관념과 배치되는 수치여서 주목된다. 소득 상위 30%의 고소득층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졌다.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기사 본문
전세대출 제도의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최근 전체 전세대출 잔액의 3분의 2가 고소득층에 집중됐다. 무주택 저소득층이 자구책으로 전세대출을 찾는 경우가 많다는 고정관념과 배치된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다.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무주택 저소득층이 자구책으로 전세대출을 찾는 경우가 많다는 세간의 고정관념과 배치되는 수치여서 주목된다. 소득 상위 30%의 고소득층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졌다.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등으로 차츰 늘다가 올해 1분기 말 64.6%로 크게 뛰었다. 이어 올해 2분기 들어 65%를 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