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지난 8월 기준 도내 비정규직 31만8,000명 전체 임금근로자 중 52% 양질의 일자리 정책 등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 시급 강원지역 비정규직 비중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절반을 넘겼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도내 임금근로자는 61만1,000명으로 전년대비 1만7,000명 감소했다. 이 중에서 비정규직은 지난해보다 2만명 늘어난 31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임금근로자의 52%에 해당하는 규모다. 임금근로자 2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인 셈이다. 도내 비정규직 비중이 50%를 넘긴 건 2023년 이후 처음이다. 정규직은 29만4,000명으로 1년 새 3만7,000명 감소했다. 도내 정규직 감소폭은 17개 시·도 중에서 가장 많았다. 강원지역 정규직 근로자 비중이 적은 이유는 타 지역보다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
기사 본문
올해 비정규직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60세 이상 고령층이 비정규직 증가세를 이끌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월 180만8000원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다. 올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 명 늘었다. 2년 연속 증가하며,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정규직 근로자는 1384만5000명으로 16만 명 증가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모두 늘어 전체 임금근로자 2241만3000명 중 비정규직 비중은 38.2%였다.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10명 중 4명이 비정규직에 해당한다는 의미다. 은퇴 이후에도 일을 이어가야 하는 현실은 통계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만3000명 늘어난 304만4000명이다. 처음 300만 명을 돌파했다. 이...
기사 본문
강원 비정규직 역대최대 2년만에 정규직 근로자 비중 넘어 임시 근로자 1년새 만 명 이상 ↑ 고용환경 개선 필요 목소리 확산 강원도내 비정규직 근로자가 2년 만에 정규직 규모를 다시 넘어섰다. 전체 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도 절반을 넘겼다. 강원도는 해마다 높은 비정규직 비중을 보이며 전국에서 고용지표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고용 안정성 확보 등을 통한 전반적인 고용 환경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8월 기준 강원도내 비정규직 근로자는 31만8000명으로 파악됐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반면 정규직 근로자는 이보다 2만4000명 적은 29만4000명에 그쳤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보다 많아진 현상이 2년 만에 되풀이됐다. 2023년 강원도 비정규직 근로자는 30만9000명으로 정규...
기사 본문
임금근로자 3명 중 1명 비정규직…전체 규모도 가장 많아 정규직 389.6만원, 비정규직 208.8만원…2004년 이래 꾸준히 벌어져 올해 고령층 취업자 비중 22%…40년 만에 4배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올해 고령층 취업자와 창업자 비중이 동시에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6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월평균 60세 이상 취업자는 639만9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22.4%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사상 최대다. 사진은 이날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2024.8.26 mon@yna.co.kr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올해 비정규직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고령층 비정규직이 300만명을 처음 넘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차이는 180만원을 넘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다. 국가데이터처는 22일 이런 내용의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비정규직 856만명...
기사 본문
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 정규직과 월급 180만원差 역대 최대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어르신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2025.5.2. 뉴스1 일하는 노인이 늘면서 올해 60세 이상 고령층 비정규직 근로자가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비정규직과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 차이도 180만 원을 넘어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국가데이터처는 22일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 명 증가했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8.2%로 지난해와 같았다. 비정규직을 근로형태별(중복 집계)로 나눠 보면 한시적 근로자(단기 업무에 임시 고용된 근로자)가 584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시간제 422만9000명, 파견·용역·특수형태 등 비전형 183만4000명 순이었다. 특히 60세 이상 비정규직이 1년 전보다 2...
기사 본문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22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고령층 구직자가 일자리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이날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는 지난해 동기 대비 27만2000명 증가한 674만9000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50대 취업자(672만명)보다 많은 것은 1982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뉴스1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고령층 비정규직이 처음으로 300만명을 넘어섰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차이는 180만원을 돌파하며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1만명 늘어났다. 이는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이며, 2년 연속 증가세다. 정규직은 1384만5000명으로 16만명 늘었으며,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
기사 본문
(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 송준행 과장이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에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5.10.2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올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처음으로 300만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비중을 기록했다. 시간제를 제외한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처음으로 300만원을 돌파했다. 시간제를 포함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80만원이 넘으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자는 2241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명 증가했...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근로형태 조사 비정규직 2년연속 늘어 857만 60대이상 노인, 전체35% 달해 노후자금 부족해 자발적 선택 임금 격차는 더 커져 180만원 취업난에 30대 비중도 증가세 서울시어르시취업지원센터에 출입하는 노인들의 모습. [이승환 기자] 건설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여파로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고령층 비정규직 규모는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역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2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만 명 증가했다. 이는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는 16만 명 늘어난 1384만5000명을 기록했다. 임금근로자 대비 비정규직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가 모두 증가하면서 전체 임금근로자(2241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