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비정규직 300만명 첫 돌파… 정규직과 임금차 181만원 최대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60세 이상 비정규직 23.3만명 증가 비중은 35.5%로 2.3%포인트 상승 비정규직 근로자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가운데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처음으로 300만명을 돌파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차이는 180만8000원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지난 1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경기도 5070 일자리 박람회'에 참가한 구직자들이 커리어 코칭을 받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1만명 증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규모를 보였다. 전체 임금 근로자(2241만3000명) 중 비정규직 비중은 38.2%로 전년과 같았다. 비정규직뿐 아니라 정규직 근로자(1384만5000명)도 16만명 늘어난 데 따른 결과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304만40...
기사 본문
올해 비정규직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60세 이상 고령층이 비정규직 증가세를 이끌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월 180만8000원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다. 올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 명 늘었다. 2년 연속 증가하며,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정규직 근로자는 1384만5000명으로 16만 명 증가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모두 늘어 전체 임금근로자 2241만3000명 중 비정규직 비중은 38.2%였다.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10명 중 4명이 비정규직에 해당한다는 의미다. 은퇴 이후에도 일을 이어가야 하는 현실은 통계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만3000명 늘어난 304만4000명이다. 처음 300만 명을 돌파했다. 이...
기사 본문
강원 비정규직 역대최대 2년만에 정규직 근로자 비중 넘어 임시 근로자 1년새 만 명 이상 ↑ 고용환경 개선 필요 목소리 확산 강원도내 비정규직 근로자가 2년 만에 정규직 규모를 다시 넘어섰다. 전체 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도 절반을 넘겼다. 강원도는 해마다 높은 비정규직 비중을 보이며 전국에서 고용지표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고용 안정성 확보 등을 통한 전반적인 고용 환경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8월 기준 강원도내 비정규직 근로자는 31만8000명으로 파악됐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반면 정규직 근로자는 이보다 2만4000명 적은 29만4000명에 그쳤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보다 많아진 현상이 2년 만에 되풀이됐다. 2023년 강원도 비정규직 근로자는 30만9000명으로 정규...
기사 본문
[앵커]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격차가 역대 최대 수준을 나타낸 가운데, 60대 이상 비정규직이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고스펙 고령층들도 구직 시장에 쏟아지고 있지만, 좋은 일자리를 찾기는 쉽지 않은 모습입니다. 김수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노인교육지도사 인턴십 과정을 듣는 시니어들. 퇴직 후에도 다시 일자리를 찾기 위해 구직 활동에 한창입니다. <김종국 / 노인교육지도사 인턴십 참여자> "몸이 허락하는 날은 더 하고 싶고, 제가 가진 재능과 능력으로 함께 봉사하면서 참여하고 싶습니다."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 명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60세 이상이 304만4천 명으로, 처음으로 300만명을 돌파하며 전체 비정규직의 35.5%를 차지했습니다. 대졸, 대기업 출신 등 고스펙 고령층들도 취업 시장에 뛰어 들고 있는 상황. <배진희 /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 선임> "시니어분들이 고역량의 고경력을 가지신 분들로 ...
기사 본문
정규직과 임금차 180만원 역대 최대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처음 300만명을 넘어섰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180만원을 웃돌며 역대 가장 크게 벌어졌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명 늘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정규직 근로자는 16만명 늘어난 1384만 5000명이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모두 증가하면서,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8.2%로 지난해와 같았다. 특히 고령층(60세 이상)이 비정규직 증가를 이끌었다. 고령층 비정규직은 304만 4000명으로, 전년 대비 23만 3000명 증가했다.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대치다. 증가 폭은 2021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컸다. 비정규직에서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5.5%로, 2.3% 포인트 높아졌다. 비정규직 ...
기사 본문
임금근로자 3명 중 1명 비정규직…전체 규모도 가장 많아 정규직 389.6만원, 비정규직 208.8만원…2004년 이래 꾸준히 벌어져 올해 고령층 취업자 비중 22%…40년 만에 4배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올해 고령층 취업자와 창업자 비중이 동시에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6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월평균 60세 이상 취업자는 639만9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22.4%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사상 최대다. 사진은 이날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2024.8.26 mon@yna.co.kr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올해 비정규직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고령층 비정규직이 300만명을 처음 넘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차이는 180만원을 넘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다. 국가데이터처는 22일 이런 내용의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비정규직 856만명...
기사 본문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22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고령층 구직자가 일자리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이날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는 지난해 동기 대비 27만2000명 증가한 674만9000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50대 취업자(672만명)보다 많은 것은 1982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뉴스1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고령층 비정규직이 처음으로 300만명을 넘어섰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차이는 180만원을 돌파하며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1만명 늘어났다. 이는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이며, 2년 연속 증가세다. 정규직은 1384만5000명으로 16만명 늘었으며,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
기사 본문
(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 송준행 과장이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에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5.10.2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올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처음으로 300만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비중을 기록했다. 시간제를 제외한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처음으로 300만원을 돌파했다. 시간제를 포함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80만원이 넘으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자는 2241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명 증가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