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 돈 공급 늘린다”...금융당국, 3년간 25조 이상 추가 투입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부산 찾은 이억원 금융위원장 지방우대 금융 대전환 간담회 28년 지방에 120조 공급목표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지난 19일 열린 생산적 금융 관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지방우대 금융’으로 대전환을 추진한다. 한국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 앞으로 3년간 지방에 25조원 이상을 추가로 더 공급할 방침이다. 올해 97조원인 지방에 공급되는 자금 규모를 2028년까지 120조원 이상으로 늘리는 게 목표다. 22일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부산 남구에 있는 부산은행 본점을 찾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서 비롯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며 “금융도 자금의 수도권 쏠림에 일조한 건 아닌지 냉정히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뒤이어 지방 자금 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 과제를 발표했다. 먼저 지방금융 공급 확대 목표제를 신설한다. 산...
기사 본문
2028년까지 지방 정책금융 45%로 확대…`28년에는 年 지방공급액 120조원으로 +25조원 민간금융도 규제 완화·인센티브 강화…‘지역재투자평가’ 실효성 높인다 정책금융기관 지역 거점 강화…‘남부권 투자금융본부’ 모델 전국 확산 이억원 “수도권 집중이 모든 문제의 뿌리”…금융위, 지역균형발전 결단 촉구 ◆…이억원 금융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지방우대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공식 선언했다. 그는 정책금융의 지방 공급 비중을 2028년까지 45%로 확대하고 지방에 대한 자금공급을 연 120조원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구체적 목표를 제시했다. 이 위원장은 "금융이 수도권만 바라봐선 대한민국의 미래도 없다"며 "정책금융·민간금융 모두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부산은행 본점에서 지난 9월 출범한 생산적금융 대전환 회의의 두 번째 회의로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주재했다...
기사 본문
이억원 "금융, 수도권 자금쏠림에 일조해와" 지방 중소기업 대출 예대율 규제도 완화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2일 부산 남구 BNK부산은행 본점에서 열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금융 간담회'에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이 위원장을 비롯해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은행연합회, 부산은행, 부산시,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기술창업투자원, 지역기업 7곳 등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2025.10.22. yulnet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금융위원회가 4개 정책금융기관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신설, 연간 120조원의 자금을 지방에 공급한다. 또 산업은행·기업은행 등 정책금융이 지방에 공급하는 자금의 규모와 우대조건(금리 등)을 대폭 확대·강화하고, 민간금융이 지방에 더 많은 자금을 공급하도록 지방 소재 중소기업 대출 예대율 등 규제를 개선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
기사 본문
금융위, 공급확대 목표제 도입 - 부산은행서 ‘지방우대’ 간담회 - 지방中企 대출규제도 낮추기로 금융당국이 수도권 쏠림 완화를 위해 정책·민간 금융의 지역 공급을 대폭 확대하는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도입한다. 이에 따라 정책금융기관의 지방 자금 공급 규모는 현재보다 25조 원가량 늘어난 연간 120조 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2일 BNK부산은행 본점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박호걸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부산은행 본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달 출범한 ‘생산적 금융 대전환 회의’의 두 번째 행사로,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금융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융위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총생산(GRDP) 비중은 2015년 비수도권을 초과한 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전체 금융권의 수도권 대출 비중도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자금도 수도권으로 쏠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