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카세·단체 예약 '노쇼' 위약금 세진다...10→40%로 상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예식장 위약금 당일 취소 35%→70%로 공정위,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노쇼 [챗 GPT 이미지] 앞으로 오마카세 등 예약 기반 음식점이나 일반 음식점 단체 예약에서 '노쇼'(no-show·예약 부도)를 할 경우 내야 하는 위약금이 대폭 인상될 전망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안을 마련해 내달 11일까지 행정예고한다고 22일 밝혔다.개정안은 경기 침체 속에서도 요식업계의 부담으로 지적돼온 노쇼 피해 방지를 위해 위약금 상한선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일반음식점의 노쇼 위약금은 총 이용금액의 최대 10%지만, 개정안은 이를 20%로 두 배 상향했다. 또한 사전 예약을 바탕으로 고가 식재료를 준비하는 오마카세·파인다이닝 등 '예약기반음식점'을 별도로 구분해 최대 40%의 위약금을 설정할 수 있게 했다. 일반음식점도 '김밥 100줄' 등 대량 주문이나 단체예약의 경우, 사전 고지했다면 최대 40%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
기사 본문
【 앵커멘트 】 식당 등을 예약해 놓고 나타나지 않는 걸 '노 쇼'라고 하죠. 최근에는 단체 주문을 해놓고는 '노쇼' 하는 악질 사례가 많이 발생해 가뜩이나 경기침체로 걱정인 자영업자들을 피눈물 나게 합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가 나섰습니다. 이승훈 기자 취재 보시고,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 기자 】 서울 도봉구에서 장어구이집을 운영하는 원상연 씨는 예약이 잡히면 2시간 전부터 바쁩니다. 테이블을 깨끗이 정리해 세팅하고, 30분 전에는 장어를 잡아 손질합니다. 하지만, 준비를 마쳤는데도 예약한 손님이 오지 않는 노쇼가 발생하면 눈앞이 캄캄해집니다. ▶ 인터뷰 : 원상연 / 장어구이집 운영 - "살아있는 생물을 잡아놓고 다른 손님한테 죽어 있는 생물을 갖다 줄 수 없는 거 아니에요. (손질한 장어는) 폐기 처분을 해야 되는 거거든요." 예약 손님은 보통 6~8명으로 단체인데, 다른 손님을 받지 못하는 기회비용까지 고려하면 피해는 상당합니다. ▶ 스탠딩 : 이승훈 / 기자 - ...
기사 본문
[앵커] 음식점 예약을 해놓고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쇼', 식당 측이 울며 겨자 먹기로 손해를 떠안게 돼 피해를 호소해 왔는데, 정부가 위약금 기준을 대폭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준비해 놓은 음식을 다 버려야 하는 예식장 당일 취소 위약금도 두 배까지 오릅니다. 이도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 노원구에서 장어집을 운영하는 원상연 씨. 오늘 저녁에도 8명 단체 예약 손님이 있는데, 손님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늘 마음을 졸입니다. 예약을 해놓고 연락이 두절되는, 이른바 '노쇼'가 걱정돼서입니다. [원상연/음식점주 : "(장어는)미리 작업을 해야 돼요. (예약 취소로)딴 손님한테 죽어있는 생물을 갖다줄 수는 없는 거 아니에요."] 8인 테이블에 노쇼가 생기면, 버리는 재룟값만 40만 원 수준. [원상연/음식점주 : "두 시간 전부터 테이블을 비워놓고 예약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서. 예약이 취소되면은 테이블 회전율도 제로가 되고…"] 이런 피해를 막겠다며 정부가 지금까진 10...
기사 본문
【 앵커 】 이번 개정안이 이르면 올해 시행될 전망이라는데, 이 내용 취재한 경제부 이승훈 기자와 조금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질문1 】 앞선 사례말고 다른 음식점 노쇼 사례는 어땠습니까. 【 기자 】 취재 과정에서 들어보니, 대형 행사 때문인지 분식집에 김밥 100줄을 예약해놓고는 당일에 아무런 연락 없이 잠적한 이들도 있었습니다. 해당 점주는 50만 원정도의 피해액은 물론이고, 김밥도 거의 다 버려야 했다고 합니다. 【 질문2 】 이런 점주들은 이제 조금 더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이고요? 【 기자 】 네, 단체나 대량주문의 경우에는 오마카세 등 예약기반 음식점으로 분류돼, 이제는 이용액의 40%를 노쇼 고객에게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앞서 리포트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객에게 반드시 사전에 알려야 가능합니다. 【 질문3 】 음식점 등 외식업계 말고, 다른 업종 상황은 어떻습니까. 【 기자 】 비용이 수천만 원 드는 예식장의 경우, 가끔이긴 하지만 식 당일에 신랑신부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