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인하 2개월 연장…인하율은 휘발유 7%·경유 10%로 축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유가·물가·재정 고려 단계적 환원 매점매석 고시 시행…반출량 제한 국내 주유소 휘발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4주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난 19일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 모습. 지난 1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L당 0.5원 내린 1천662.7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경유는 0.2원 오른 1,535.8원으로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연합뉴스 정부가 이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 조치를 12월 말까지 2개월 연장하되, 인하 폭은 줄이기로 했다. 최근 유가와 물가 동향, 재정 부담 등을 고려해 단계적 환원에 나선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오는 12월 31일까지 연장하면서 휘발유 인하율은 기존 10%에서 7%로, 경유와 액화석유가스(LPG)부탄 인하율은 15%에서 10%로 각각 축소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로 인하 전 세율과 비교해 휘발유는 리터(ℓ)당 57원...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김혜진 기자 = 2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 가격이 게시돼 있다. 이달 말 종료 예정이었던 유류세 한시인하 조치가 연말까지 2개월 더 연장된다. 휘발유에 대한 인하율은 기존 10%에서 7%로, 경유 및 LPG부탄에 대한 인하율은 15%에서 10%로 조정된다. 정부는 유가·물가 상황에 따라 유류세 인하 조치를 이어오고 있으며 연장 조치는 이번이 18번째다. 2025.10.22. jini@newsis.com [서울·세종=뉴시스] 류현주 김혜진 안호균 기자 = 정부가 오는 31일 종료 예정인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2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휘발유·경유·액화석유가스(LPG)부탄에 대한 인하율을 일부 환원하며 이에 따라 휘발유는 리터(ℓ)당 25원, 경유는 29원, 부탄은 10원씩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최근 유가 및 물가 동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유류세 인하의 환원을 추진하되,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일...
기사 본문
[앵커] 정부가 오늘(22일)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연말까지 2개월 더 연장하되, 인하율을 일부 축소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11월부터 휘발유 인하율은 기존 10%에서 7%로,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LPG)부탄에 대한 인하율은 기존 15%에서 10%로 각각 하향 조정됩니다. 배시진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이달 말 종료 예정이었던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연말까지 두 달 더 연장합니다. 정부의 유류세 인하 연장은 이번 조치를 포함하면 총 18번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다음달 1일부터는 인하율이 최대 한 자릿수까지 줄어듭니다. 휘발유 인하율은 기존 10%에서 7%로 축소되고,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LPG)부탄에 대한 인하율은 기존 15%에서 10%로 하향 조정됩니다. 정부는 지난 2021년 11월 국제유가 상승 등을 이유로 유류세 인하 조치를 처음 시행했습니다. 이후 국제유가 하락세에 따라 점차 인하 폭을 줄여왔고, 올해 5월부터 이달까지는 휘발유에 10%, 경유와 LPG...
기사 본문
인하 조치 연장 대신 인하율은 소폭 축소 내달부터 리터당 휘발유 25원·경유 29원 올라 대전일보DB 이달 말 종료되는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가 연말까지 두 달 더 연장된다. 다만 인하율은 소폭 축소된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유가·물가 동향과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했다"며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일부 환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로 인하 폭이 종전보다 줄면서, 휘발유 인하율은 오는 12월 31일까지 기존의 10%에서 7%로,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LPG)부탄 인하율은 기존 15%에서 10%로 각각 하향 조정된다. 이에 내달부터 휘발유는 738원에서 763원으로 리터당 25원, 경유는 494원에서 523원으로 리터당 29원, LPG 부탄 유류세는 조정 전 173원에서 183원으로 리터당 10원씩 오를 예정이다. 이에 따라 주유소 소매 가격에도 그만큼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코로나19가 유행 중이던 2021년 말 국제 유가 급등으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