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인하 축소‥다음 달 휘발유 25원·경유 29원 오른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이달 말 종료되는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가 연말까지 두 달 더 연장됐지만 인하율은 소폭 줄어듭니다. 기획재정부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올해 12월 31일까지 연장하되 휘발유 인하율은 기존의 10%에서 7%로,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 LPG 부탄 인하율은 기존 15%에서 10%로 각각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리터당 유류세는 휘발유가 738원에서 763원으로 경유는 494원에서 523원으로 올라갑니다. 소비자 가격에 모두 반영된다면 휘발유는 25원, 경유는 29원 인상 요인이 생기는 겁니다. LPG 부탄 유류세는 183원으로 10원 오릅니다. 기재부는 "유가 및 물가 동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했다"며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일부 환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2021년 말부터 유류세를 인하해왔으며, 이번이 18번째 연장 조치입니다. 유류세 인하 연장을 위한 시행령 개정안은 다음 주 국무회의를 거쳐 다음 달 1일부터 시행됩니다.
기사 본문
휘발유 10→ 7%… 경유 15→ 10% 22일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올해 말까지 두 달 더 연장한다. 다만 인하 폭은 소폭 축소된다. 기획재정부는 22일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시행령과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1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초 오는 31일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는 12월 31일까지 유지된다. 유류세 인하 조치는 2021년 말 유가 급등기에 처음 시행된 이후 이번이 18번째 연장이다. 기재부는 "유가·물가 동향과 재정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급격히 늘지 않도록 일부만 환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다음 달부터 휘발유 인하율은 현행 10%에서 7%로, 경유와 액화석유가스(LPG) 부탄은 15%에서 10%로 낮아진다. 이에 따라 유종별 L당 유류세는 휘발유 738원→763원, 경유 494원→523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김혜진 기자 = 2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 가격이 게시돼 있다. 이달 말 종료 예정이었던 유류세 한시인하 조치가 연말까지 2개월 더 연장된다. 휘발유에 대한 인하율은 기존 10%에서 7%로, 경유 및 LPG부탄에 대한 인하율은 15%에서 10%로 조정된다. 정부는 유가·물가 상황에 따라 유류세 인하 조치를 이어오고 있으며 연장 조치는 이번이 18번째다. 2025.10.22. jini@newsis.com [서울·세종=뉴시스] 류현주 김혜진 안호균 기자 = 정부가 오는 31일 종료 예정인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2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휘발유·경유·액화석유가스(LPG)부탄에 대한 인하율을 일부 환원하며 이에 따라 휘발유는 리터(ℓ)당 25원, 경유는 29원, 부탄은 10원씩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최근 유가 및 물가 동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유류세 인하의 환원을 추진하되,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일...
기사 본문
2021년 말 시작된 유류세 인하 조치 이어져 휘발유 10%→7%, 경유·LPG 15%→10% ℓ당 57원·58원·20원 낮아져 [세종=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정부가 18번째 유류세 인하 연장 조치를 결정했다. 다만 인하 폭은 축소하면서 향후 유류세 복원을 위한 연착륙에 나선 모습이다. 서울 시내 주유소 가격 현황판 모습.(사진=연합뉴스) 기획재정부는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12월 31일까지 2개월 추가 연장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조치에 따라 한시적 인하 전 대비 휘발유는 리터(ℓ)당 57원, 경유는 58원, LPG는 20원 낮아진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각각 25원, 29원, 10원 오르는 셈이다. 정부는 2021년 11월 유류세 인하 조치를 단행했다. 당시 유종에 상관없이 세율을 20% 인하했다. 이어 2022년 30%에 이어 37%까지 낮췄다. 이후 2023년부터는 유종별로 인하율에 차등을 뒀다. 2023년 휘발유는 25%, 경유와 LPG는 37% 인하율로 책정했다. 2...
기사 본문
휘발유 10→7%, 경유·부탄 15→10%로 인하율 축소 인하전 대비 휘발유 57원·경유 58원·부탄 20원 낮아 "매점매석 행위 철저히 관리…유류 반출량 제한" [서울=뉴시스] 박주성 기자 = 19일 서울 서초구 만남의광장 주유소에서 시민들이 주유를 하고 있다. park7691@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정부가 10월 31일 종료 예정인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2개월 연장하되 휘발유·경유·액화석유가스(LPG)부탄에 대한 인하율을 일부 환원한다. 이에 따라 휘발유는 리터(ℓ)당 25원, 경유는 29원, 부탄은 10원씩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최근 유가 및 물가 동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유류세 인하의 환원을 추진하되,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일부 환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는 12월 31일까지 연장된다. 다만 휘발유에 대한 인하율은 기존 10%에서 7%로, 경유 및 LPG부탄에...
기사 본문
연말까지 유류세 인하조치 2개월 연장…벌써 18번째 유류세 인하 연말까지 연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유류세 한시인하 조치가 연말까지 2개월 더 연장된다. 다만 인하폭은 소폭 축소된다. 기획재정부는 이런 내용의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시행령,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와 국무회의를 거쳐 내달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달 31일 종료될 예정인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는 12월31일까지 2개월 더 적용된다. 정부는 유가·물가 상황에 따라 2021년 말부터 유류세를 인하해왔다. 이번이 18번째다. 기재부는 "유가 및 물가 동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했다"며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일부 환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향후 정책대응 여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세수 측면까지 고려할 때 한시적인 비상조치인 유류세 인하를 전면 종료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지만, 시중의 기름값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
기사 본문
정부, 물가 완화 속 재정 부담 감안해 절충안 선택 인하폭 줄여 연말까지 연장…매점매석 단속 병행 국내 주유소 휘발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4주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난 19일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오는 11월부터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각각 25원, 29원씩 오른다. 정부가 4년째 이어온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2개월 더 연장하면서도, 인하 폭을 줄이기로 했기 때문이다. 국제유가와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국민 유류비 부담 급등을 막는 대신 재정 손실을 완화하려는 절충안으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오는 10월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한시 인하를 오는 12월 31일까지 2개월 연장하는 동시에 휘발유 인하율을 10%에서 7%로, 경유와 액화석유가스(LPG) 부탄은 15%에서 10%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정으로 유류세 인하 전 대비 리터당 세부담 경감액은 휘발유 57원, 경유 58원, 부탄 20원 수준이다. 정부는 “...
기사 본문
‘유류세 인하’ 2개월 연장… 휘발유 10→7% 축소 -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가 연말까지 2개월 더 연장된다. 다만 인하율은 소폭 축소된다. 이에 따라 휘발유 인하율은 기존의 10%에서 7%로, 경유와 액화석유가스(LPG) 부탄 인하율은 기존 15%에서 10%로 각각 하향조정된다. 사진은 22일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 모습. 2025. 10. 22. 연합뉴스 다음달 1일부터 유류세 인하 폭이 10%에서 7%로 줄면서 휘발유 가격이 ℓ당 25원 오른다. 정부가 소비자 물가와 유가, 재정 상황 등을 고려해 유류세 인하 조치를 단계적으로 복원하면서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12월 말까지 2개월 연장하면서 인하 폭은 축소하는 내용의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시행령과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유류세 인하 조치가 연장된 건 2021년 11월 제도 시행 이후 18번째다. 휘발유에 붙는 유류세 인하율은 10%에서 7%로, 경유와 액화석유가스(LPG) 부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