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저소득층이 받는다?… 실제론 고소득층 3분의 2 가져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국은행, 국회 박성훈 의원 제출 자료 분석 2분기 말 상위 30% 고소득 대출 65% 달해 하위 30% 저소득 전세 대출은 7.6% 불과 전세대출은 저소득층이 전세집을 구하기 위해 빌린다는 고정관념과는 다르게 실제 전세대출은 고소득층이 훨씬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클립아트코리아 전세대출은 저소득층이 전세집을 구하기 위해 빌린다는 고정관념과는 다르게 실제 전세대출은 고소득층이 훨씬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다. 소득 상위 30%의 고소득층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졌다.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등으로 차츰 늘다가 올해 1분기 말 64.6%로 크게 뛰었다. 차주(빌리는 사람)...
기사 본문
소득상위 30%가 전체 65.2%…하위 30%는 7.6% 野 박성훈 “무주택 서민 등 월세 내몰리는 악순환” 정부가 부동산시장 안정 대책을 발표한 지난 15일 서울 시내 시중은행을 찾은 시민이 창구에서 상담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전세대출 제도의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전체 전세대출 잔액의 3분의 2가 고소득층에 집중된 반면 저소득층 비중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부채 DB’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소득상위 30%) 차주가 받아 간 전세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다. 무주택 저소득층이 자구책으로 전세대출을 찾는 경우가 많다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사뭇 다른 결과다. 지난 4년간 고소득층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졌다. 2021년 1분기 말 61.6%에서 2022년 2분기 말 62.3%...
기사 본문
전세대출 3분의 2가 고소득층에게 나갔다. 서민의 주거 안정이란 원래 취지와 달리 ‘갭투자(전세 안고 매수)’와 같은 부동산 투기 수단으로 변질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20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2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성훈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전세대출 잔액 가운데 65.2%를 소득 상위 30%인 사람이 받아갔다. 소득 상위 30%는 연 소득 4000만원 이상에 해당하는데 차주(대출을 낸 명의자)를 기준으로 산출했다. 맞벌이 가구에서 전세대출을 받아갔다면 가구당 실제 소득은 그 이상일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 집값 상승과 맞물려 전셋값이 올랐고, 그에 따라 고액의 전세대출을 감당할 수 있는 고소득층의 비중도 따라 늘었다.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지난해 말 64.1%로 뛰었고, 올해 2분기에 65%를 넘었다. 전세대출 차주 인원을 기준으로도 소득 상위 30% 비중은 최근 4년 사이 49.8%에...
기사 본문
대구 수성구 한 부동산중개업소. 매일신문 DB 최근 전체 전세 대출 잔액 3분의 2가 고소득층에 집중되는 전세 대출 제도에서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저소득층 비중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자는 더 많이, 저소득자는 더 적게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자 차주의 전세 대출 비율은 전체 잔액 중 65.2%에 달했다. 전세 대출은 무주택 저소득층이 자구책으로 활용한다는 세간의 고정관념과 배치되는 수치다 보니 이목이 쏠린다. 소득 상위 30% 고소득 층 전세 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궤를 함께 한다. 연도별 고소층 전세 대출 잔액 비중을 살펴보면 ▷2021년 1분기 말 61.2%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올해 1분기 말 64.6%까지 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