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되는 지난 20일 서울 남산에서 아파트단지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아파트 매매거래가 급감하며 시장 위축이 뚜렷해지고 있다. 반면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의 적용을 받지 않는 경매시장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며 열기를 보이고 있다. 2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규제지역 지정 효력이 발생한 이달 16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3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책 발표 직전 6일(10∼15일) 2102건의 11.2% 수준에 불과하다. 자치구별로 보면 영등포구(-99.2%)를 비롯해 구로구(-97.5%), 노원구(-95.6%), 동작구(-93%), 동대문구(-90.1%) 등 대부분 지역에서 거래가 80% 이상 급감했다. 부동산 관계자들은 주택 거래신고 기한이 30일인 점을 고려하더라도 “대책...
기사 본문
10∼15일 2천102건→16∼21일 235건…서울 전역 걸쳐 큰폭 감소세 갭투자 수요, 토허제 대상 아닌 경매시장에 눈길…낙찰가율 상승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홍국기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일주일가량 지나는 동안 아파트 시장에서는 강화된 대출규제와 실거주 의무 부과 등에 따른 거래 위축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토허구역 지정 영향을 받지 않는 경매시장은 선호지역 매물을 확보할 수 있는 틈새 경로로 갭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면서 열기가 오르는 등 대조적인 모습이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2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이날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보면 규제지역 지정 효력이 발생하기 시작한 이달 16일부터 21일까지 6일간 계약이 체결된 거래는 235건이었다. 이는 대책 발표 당일을 포함한 직전 6일(10∼15일) 2천102건의 11.2% 수준이...
기사 본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일주일 만에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가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2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이날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보면 규제지역 지정 효력이 발생하기 시작한 이달 16일부터 21일까지 6일간 계약이 체결된 거래는 235건이었다. 대책 발표 당일을 포함한 직전 6일(10∼15일) 2102건의 11.2% 수준이다. 이 기간 자치구별 거래량 변동 추이를 보면 영등포구가 99.2% 감소한 것을 비롯해 구로구(-97.5%), 노원구(-95.6%), 동작구(-93%), 동대문구(-90.1%), 성북구(-89.8%), 마포구(-87.5%), 광진구(-85.7%), 성동구(-83.5%), 양천구(-79.4%) 등 서울 전역에 걸쳐 큰폭으로 감소했다. 관련법상 주택 매매거래 신고는 계약일로...
기사 본문
서울 대부분 자치구서 두 자릿수 감소율 보여 대출 규제·실거주 의무 강화로 매수심리 ‘급랭’ [연합뉴스]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지 약 일주일이 지났다. 규제로 인해 아파트 거래가 눈에 띄게 위축된 반면, 토허구역 지정 영향을 받지 않는 경매시장은 선호지역 매물을 확보할 수 있는 틈새 경로로 갭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열기를 더하고 있다. 2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이날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보면 규제지역 지정 효력이 발생하기 시작한 이달 16일부터 21일까지 6일간 계약이 체결된 거래는 235건이었다. 이는 대책 발표 당일을 포함한 직전 6일(10∼15일) 2102건의 11.2% 수준이다. 이 기간 자치구별 거래량 변동 추이를 보면 영등포구가 99.2% 감소한 것을 비롯해 구로구(-97.5%), 노원구(-95.6%), 동작구(-93%), 동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