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올해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하나은행이 올해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자료 : 하나은행)] 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1천83억원으로, 개인형 퇴직연금(IRP) 2조6천583억원과 확정기여형(DC) 1조1천586억원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말 대비 3조8천349억원 증가했습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전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매분기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며, '퇴직연금 1등 은행'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했습니다. 하나은행은 지난 8월부터 연금 전문 컨설턴트가 상담 전용 차량과 함께 손님이 ...
기사 본문
퇴직연금 적립금 44.1조, 전년 말대비 3.8조 증가 [서울=뉴시스]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하나은행 제공). 2025.10.22.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1083억원으로 집계됐다. 개인형(IRP) 2조 6583억원, 확정기여형(DC) 1조 1586억원 등 지난해 말 대비 총 3조 8349억원이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2024년 2년 연속 전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들어 매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고 있다. 올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했다. 하나은행은...
기사 본문
실물이전 시행 1년 영향 분석 DB·DC형서 각 4000억 이탈 IRP서 가장 많은 7천억 빠져 증권보다 낮은 수익률이 원인 수수료인하·상품군 확대나서 작년 10월 31일부터 허용된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를 통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에서만 약 1년간 1조5210억원이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견고했던 은행 중심의 퇴직연금 시장 구도가 실물이전 제도 도입을 계기로 흔들리는 모습이다. 21일 5대 은행에 따르면 작년 10월 말 실물이전 제도가 시작된 이후 올해 9월 말까지 확정급여(DB)형과 확정기여(DC)형에서 각각 4471억원, 4010억원이 순유출되면서 총 8481억원이 증권사와 보험사 등으로 이동했다. 개인형 퇴직연금(IRP)에서도 약 1년간 6720억원이 빠져나갔다. 총 1조5000억원이 넘는 퇴직연금 자금이 5대 은행에서 증권사와 보험사 등으로 간 것이다. 퇴직연금 실물이전이란 기존에 보유한 퇴직연금계좌를 해지·매도 없이 타 금융사로 이전할...
기사 본문
DC 1년 원리금비보장형 수익률 15.38%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본사 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KB국민은행은 전체 퇴직연금사업자 중 최초로 DC형 적립금 15조원을 달성해 전 금융권 1위를 유지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공시에 따르면 올 3분기말 기준 KB국민은행은 DC형 적립금 15조원을 달성했다. 이에 지난 2010년부터 전체 사업자 중 DC형 적립금 규모 1위를 유지하게 됐다. 퇴직연금 운용 수익률(DC 1년 원리금비보장형)도 3분기말 기준 15.38%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수익률은 연평균 6.33%였다. KB국민은행은 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도 TDF(타깃데이트펀드)와 분산투자 중심의 자산배분 전략을 강화해 안정적인 수익 실현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일관된 퇴직연금 투자철학이 고객 만족을 이끌어낸 의미 있는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고객중심의 자세로 국민의 든든한 노후 동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