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女 삶의 질 높이는 기업 키운다…중기부, 연간 5천억 자금·보증 제공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사진=머니투데이 DB. 중소벤처기업부가 여성기업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연간 50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보증 지원책을 마련한다. 중기부는 22일 여성의 창업부터 성장, 글로벌 진출까지 전 주기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2025년~2029년)'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여성기업 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향후 5년간 여성기업 활동 촉진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기부는 우선 여성기업이 기술혁신의 주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한다. 여성 건강과 삶의 질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펨테크 기업을 집중 발굴·육성한다. 팸테크는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여성건강과 삶의 질을 제고하는 제품·서비스다. 뷰티·푸드테크 등 여성친화 산업 분야 유망 창업도 지원하고 생활·문화 분야에서도 혁신적 여성 소상공인이 유망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초격차 스타트업 ...
기사 본문
중기부, 제2차 활동 촉진 기본 계획 발표 2029년까지 실행 목표 및 추진 전략 공개 [서울=뉴시스] 제2차 여성 기업 활동 촉진 기본 계획.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2025.10.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강은정 기자 = 여성기업 인정 범위가 영농·영어조합법인까지 확대되고 공공기관의 여성기업 제품 구매액이 오는 2029년까지 20조원으로 늘어난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2일 '제2차 여성 기업 활동 촉진 기본 계획(기본 계획)'을 발표하고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향후 5년간 추진 목표 및 전략을 공개했다. 기본 계획은 '여성기업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세우는 5년 단위 법정계획으로 여성기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이 담긴다. 중기부는 2029년까지 ▲여성기업 매출액 800조원 ▲여성기업 종사자 600만명 ▲소기업 이상 여성기업 10만개사 달성을 목표로 5가지를 추진 전략 제시했다. ▲여성기업 스케일업 지원 ▲신기...
기사 본문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 발표 팸테크 기업 발굴 주력…첨단분야 도전 지원 여대생, 경력여성 등 세대별 창업 프로그램 제공 여성 전용 모태펀드 100억 출자…보증도 확대 "여성기업 통해 저성장·인구위기 극복"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오는 2029년 여성기업 매출액 800조원 달성을 목표로 여성 건강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펨테크 기업을 집중 육성한다. 또 성장단계별 맞춤형 여성 창업지원을 강화하고, 여성 전용 모태펀드를 통해 스케일업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을 22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여성기업 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향후 5년간 여성기업의 활동 촉진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획됐다. 기본계획의 목표는 오는 2029년 △여성기업 매출액 800조원 △여성기업 종사자 600만명 △소기업 이상 여성기업 1...
기사 본문
중기부, '제2차 여성기업 활동촉진 기본계획' 발표 "여성기업은 저성장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여성기업을 위해 매년 100억 원 규모의 여성 전용 모태펀드를 조성하고, 정책자금과 보증이 연 5000억 원씩 공급될 전망이다. 22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이같은 내용의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2025~2029)'을 발표했다. '여성기업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향후 5년간 여성기업 혁신과 성장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먼저 여성기업의 신기술·신성장 분야 진출을 강화해 펨테크(Female Technology) 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뷰티·푸드테크 등 여성친화 산업 창업을 지원한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통해서는 여성 창업자의 첨단 분야 진출을 촉진하고, 여성기업 전용 R&D 과제와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으로 ...
기사 본문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 (중소벤처기업부 제공=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2029년까지 공공기관의 여성기업 제품 구매액을 20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중기부는 또 여성기업의 성장을 위해 매년 여성 전용 모태펀드 100억원을 출자하고, 정책자금과 신규 보증을 연간 5천억원 규모로 공급할 방침입니다. 중기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2025∼2029)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뷰티와 푸드테크 등 여성 친화 산업 창업을 지원합니다. 또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등과 연계해 첨단 유망분야 도전을 지원하고, 여성기업 전용 연구·개발(R&D) 과제를 제공해 기술 기반 여성기업을 활성화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여성 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스마트서비스, 지능형 상점 등 업종별 디지털 전환(AX·DX)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합니다. 이어 성장 단계별 맞춤형 창업 지원을 위해 여대생, 예비 창업자, ...
기사 본문
정부가 오는 2029년까지 공공기관의 여성기업 제품 구매액을 20조원으로 확대하고, 여성 창업과 기술개발, 수출 지원까지 전 주기에 걸친 지원을 강화하기로 하면서 강원지역 여성경영계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2일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2025~2029년)'을 발표하고, 여성기업의 창업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단계별 맞춤 지원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여성기업 지원법'에 따른 5년 단위 법정 계획으로, 여성경제인의 성장 사다리를 촘촘히 만드는 것이 목표다. 중기부는 우선 매년 100억원 규모의 여성 전용 모태펀드를 출자하고, 정책자금과 신규 보증을 합쳐 연간 50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추진한다. 또 뷰티·푸드테크 등 여성친화 산업 창업을 적극 육성하고,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등과 연계해 첨단 기술 분야의 여성 창업기업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여성기업 전용 연구·개발(R&D) 과제를 신설하고, 업종별 디지털 전환(AX·DX)...
기사 본문
중소벤처기업부가 여성의 창업부터 성장, 글로벌 진출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중장기 로드맵을 내놨다. 여성기업을 단순한 사회적 지원 대상이 아닌, 첨단·혁신 산업의 주체이자 국가 성장축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세종 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중기부는 22일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2025~2029)’을 발표하고, 여성기업의 기술 혁신, 글로벌 진출, 투자 연계 강화 등을 골자로 한 5개년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계획은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수립된 법정 계획이다. 정부는 우선 여성기업의 신기술 ·신성장 분야 진출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로 여성 건강과 삶의 질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펨테크(FemTech) 기업을 집중 발굴․육성하고, 뷰티·푸드테크 등 여성 친화 산업 분야 유망 창업을 지원한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를 통해 여성 창업자의 첨단 분야 진입을 촉진하고, 여성기업 전용 기술개발(R&...
기사 본문
'신기술·신성장 분야 진출 강화' 등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 계획' 발표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 계획(2025년~2029년) 주요 내용. 중기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해 기준 626조 원이던 여성기업 연간 매출액을 2029년 800조 원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22일 중기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 계획(2025~2029년)'을 발표했다.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 계획은 '여성기업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부가 여성기업 활동 촉진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 계획이다. 중기부는 이번 2차 기본 계획에서 여성기업 종사자를 지난해 542만 명에서 2029년 600만 명으로 늘리고, 같은 기간 소기업 이상 여성기업을 8만 3천 개에서 10만 개로 증가시킨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신기술·신성장 분야 진출 강화' 등 5대 추진 전략도 수립했다. 중기부는 먼저, 여성기업이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