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 120조 자금 공급”…금융당국, 3년간 25조 이상 추가 투입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수도권 쏠림 완화를 위해 정책·민간 금융의 지역 공급을 대폭 확대하는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도입한다. 정책금융기관의 지방 자금 공급 규모는 현재보다 25조원가량 늘어난 연간 120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민간 금융사들이 지방에 자금 공급을 늘릴 수 있도록 각종 규제도 완화할 방침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부산은행 본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9월 출범한 ‘생산적 금융 대전환 회의’의 두 번째 행사다.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금융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융위는 내년부터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4대 정책금융기관에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도입해 현재 40% 수준인 비수도권 자금 공급 비중을 2028년까지 4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책금융기관의 지방 공급 규모는 올해 96조8000억원에서...
기사 본문
2028년까지 지방 정책금융 45%로 확대…`28년에는 年 지방공급액 120조원으로 +25조원 민간금융도 규제 완화·인센티브 강화…‘지역재투자평가’ 실효성 높인다 정책금융기관 지역 거점 강화…‘남부권 투자금융본부’ 모델 전국 확산 이억원 “수도권 집중이 모든 문제의 뿌리”…금융위, 지역균형발전 결단 촉구 ◆…이억원 금융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지방우대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공식 선언했다. 그는 정책금융의 지방 공급 비중을 2028년까지 45%로 확대하고 지방에 대한 자금공급을 연 120조원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구체적 목표를 제시했다. 이 위원장은 "금융이 수도권만 바라봐선 대한민국의 미래도 없다"며 "정책금융·민간금융 모두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부산은행 본점에서 지난 9월 출범한 생산적금융 대전환 회의의 두 번째 회의로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주재했다...
기사 본문
생산적 금융 대전환, 두 번째 회의…지방균형발전 논의 본격화 이억원 “정책금융 공급 비중 45%로 확대…지방에 연 120조원 투입” “지방소재 중소기업 대출 규제 완화…지역재투자평가 인센티브 강화” “정책금융기관 권역별 거점 확대…지방 벤처·창업 생태계 육성” “지방이 대한민국 성장의 또 다른 축…산업-금융-복지 연계 추진” ◆…이억원 금융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가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방우대 금융'으로의 전환에 나선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2028년까지 정책금융기관의 지방공급 비중을 45%로 확대해 연간 120조원 이상을 지방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억원 위원장은 이날 부산에서 열린 '생산적 금융 대전환 회의' 제2차 회의에서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서 발생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라며 "대한민국 전체의 미래를 위해 정부와 정책금융기관, 민간금융기관 모두가 전략적인...
기사 본문
이억원 "금융, 수도권 자금쏠림에 일조해와" 지방 중소기업 대출 예대율 규제도 완화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2일 부산 남구 BNK부산은행 본점에서 열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금융 간담회'에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이 위원장을 비롯해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은행연합회, 부산은행, 부산시,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기술창업투자원, 지역기업 7곳 등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2025.10.22. yulnet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금융위원회가 4개 정책금융기관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신설, 연간 120조원의 자금을 지방에 공급한다. 또 산업은행·기업은행 등 정책금융이 지방에 공급하는 자금의 규모와 우대조건(금리 등)을 대폭 확대·강화하고, 민간금융이 지방에 더 많은 자금을 공급하도록 지방 소재 중소기업 대출 예대율 등 규제를 개선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
기사 본문
정부 정책자금 지방공급 강화 수도권 금융 쏠림현상 막으려 정책금융 지방비중 목표 할당 국민성장펀드 40%도 지방에 지방 첨단기업에는 금리인하 정부가 지방으로 자금이 흐르도록 하는 '지방 우대 금융 정책'을 내놓은 건 수도권으로 금융이 쏠리는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향후 3년간 지방에 투입되는 정책자금 규모를 120조원 이상으로 늘린다. 지방 기업에 대한 대출·보증을 확대하고 지방 전용 3종 펀드도 운영한다. 22일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부산에서 지방 우대 금융 간담회를 열고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서 비롯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한국은행에 따르면 전체 금융권의 수도권 대출 비중은 2020년 61.4%에서 지난해 63%로 최근 5년간 꾸준히 높아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에 지난달 금융 차원의 지역 균형발전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금융위원회가 이날 마련한 후속 조치의 핵심은 한국산업은...
기사 본문
금융위, 공급확대 목표제 신설 비수도권 공급 비중 40→45% 지역 전용 3종 패키지 펀드 조성 금융위원회가 지방기업 살리기에 나섰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부산 남구 부산은행 본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주재하고, 지방우대 금융으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와 규제 개선안을 논의했다. 금융위는 지방우대 금융 정책으로 내년부터 4개 정책금융기관에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신설해 약 40% 수준인 지방공급액 비중을 2028년까지 45%로 5%p 이상 높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비수도권 자금 공급규모가 현재 연간 96조8000억원에서 25조원 이상 늘어 120조원을 넘을 수 있을 것이라는 계산이다. 정책금융기관은 연도별 지방공급목표를 세워서 관계부처와 정책금융기관이 참여하는 '정책금융협의회'를 통해 계획과 실적을 주기적으로 점검받는다. 특히 실적을 기관 경영평가에 반영하는 것을 검토해 제도 실효성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에 정책...
기사 본문
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2일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은행 본점에서 ‘지방우대 금융’으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 성장을 뒷받침하는 비전을 함께 논의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정부가 ‘지방 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도입하고 120조원의 자금을 지방에 공급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은행 본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계속 커지고, 자금과 사람의 쏠림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며 “금융도 수도권 쏠림에 일조한 것은 아닌지 냉정히 되돌아봐야 한다”고 했다. 금융위원회는 내년부터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4대 정책금융기관에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도입해 현재 40% 수준인 비수도권 자금 공급 비중을 2028년까지 4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책금융기관의 지방 공급 규모는 올해 96조8000억원에서 2028년 120조원 이상으로 약 25...
기사 본문
금융공기업, 공급비중 45%까지 늘려 지방 中企·벤처 겨냥 정책펀드도 출시 [서울경제] 정부가 2028년까지 정책금융기관이 지방에 공급하는 자금 규모를 24조 원 늘리기로 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2일 부산 남구 부산은행 본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열고 “지방에 공급되는 정책금융을 대폭 늘리고 지역 맞춤형 상품을 확대해 지방을 최대할 우대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6일 국무회의에서 금융위에 지방 금융 활성화 방안을 주문하자 후속 조치를 마련한 것이다. 우선 한국산업은행과 IBK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4개 정책금융기관에 ‘정책금융 지방 공급 확대 목표제’를 실시한다. 올해 40% 수준인 지역 정책금융 공급 비중을 2028년까지 45%로 단계적으로 높이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다. 이를 토대로 올해 96조 8000억 원으로 예상되는 비수도권 정책금융 공급액을 △2026년 103조 원 △2027년 112조 원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