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자물가, 0.4%↑…명절 전 농축산물 '껑충'

2025년 10월 2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0-22 12:47: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시사저널 2025-10-22 09:41:11 oid: 586, aid: 0000114216
기사 본문

[조주연 디지털팀 기자 shscja123@naver.com]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 수준 100)로, 전월보다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지난달 명절을 앞두고 농·축산물 물가가 뛰면서 생산자물가가 0.4% 상승 전환했다.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 구간 완화, SKT 8월 통신요금 할인 등 일시적 요인도 영향을 줬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 수준 100)로, 전월보다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수는 지난 8월 SK텔레콤 요금 인하 효과에 0.1% 하락했으나 한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전월 대비 등락률을 품목별로 보면, 축산물(2.0%), 농산물(0.5%)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0.4% 높아졌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특히 쌀(4.7%), 상추(38.9%), 쇠고기(6.9%), 돼지고기(3.3%)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쌀, 상추 등 채소류는 출하 시기 잦은 강우로...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22 11:43:09 oid: 374, aid: 0000469879
기사 본문

[앵커] 전체적인 물가 상승세도 보겠습니다.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생산자물가가 한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그런데 특히나 최근 소비자 체감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먹거리 물가가 또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이민후 기자, 특히 상추가 불안하던데, 눈에 띄게 오른 품목들 전해주시죠. [기자] 지난달 생산자 물가지수 중 농림수산품이 한 달 전인 8월보다 0.4% 올랐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쉽게 말해 출하와 도매 단계의 가격 변동을 지수화한 건데요. 농림수산품이 오른 이유는 지난달 명절과 최근 이상 기후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최근 잦은 가을비와 출하 지연으로 농산물 중 상추 가격은 39%, 쌀 가격은 5% 가까이 올랐고요. 또 명절을 앞두고 수요가 몰리면서 소고기값이 7%, 돼지고기값이 3% 상승했습니다. 전기요금과 통신요금도 모두 올랐습니다. 여름철을 맞아 한시적으로 시행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 구간 조치가 지난달 종료되면서 주택용 전력(14.4%)이 크게 상승했고,...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0-22 11:11:11 oid: 629, aid: 0000436141
기사 본문

한은, 9월 생산자물가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100)로 전월(120.11)보다 0.4% 올랐다.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채소를 구매하고 있다. /더팩트 DB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상추와 돼지고기, 쌀 등 농·축산물 물가가 오른 탓이다. SK텔레콤과 주택용 전력 요금 정상화도 작용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100)로 전월(120.11)보다 0.4% 올랐다. 8월(-0.1%) 이후 한달 만에 내림세다. 8월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축산물(2.0%) 및 농산물(0.5%) 등이 오른 영향이다. 쌀과 상추는 전월 대비 각각 4.7%, 38.9% 올랐고, 쇠고기와 돼지고기도 6.9%, 3.3% 상승했다. 다만 기타어류 등 수산물은 4.0% 하락했다. 이문희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쌀은 2024년 생산량 감소에 아직 햅쌀이 본격 출하되지 못...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2 06:00:00 oid: 003, aid: 0013549309
기사 본문

9월 생산자물가 전월대비 0.4% 상승 이상기온·명절수요에 상추·쇠고기·돼지고기 올라 SKT 요금·주택용전력요금 정상화도 영향 이통통신·전력 요금 정상화 제외시 0.1% 올라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른 무더위와 기록적인 집중호우 등이 겹치며 농산물 가격도 불안정한 상태를 보이고 있는 30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적상추를 고르고 있다. 이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상추(적) 100g의 소매가격은 1,366원으로 전월 대비 41.5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7.30.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0.4% 올라 한 달만에 상승 전환했다. 이상 기후에 따른 상추와 쌀 등 가격 상승과 추석 연휴 쇠고기·돼지고기 수요 등이 반영됐다. 여기에 SK텔레콤과 주택용 전력 요금 정상화도 크게 작용했다. 한국은행은 요금 정상화 제외 시 생산자물가가 전월대비 0.1% 상승했을 것으...

전체 기사 읽기

KBS 2025-10-22 12:53:39 oid: 056, aid: 0012051511
기사 본문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전기료를 중심으로 상승해 전월 대비 0.4% 올랐다고 한국은행이 밝혔습니다. 주택용 전력이 한달 새 14.4% 증가한 영향이 컸는데, 이는 여름철 한시적으로 전기요금 누진 구간을 완화하던 게 해제된데 따른 것입니다. 농림수산품 부문은 0.4% 소폭 상승했는데, 상추가 38.9%로 상승 폭이 가장 컸고, 쌀, 쇠고기, 돼지고기의 가격도 올랐습니다. 서비스 부문도 0.4% 상승했는데, 이동통신 요금 등이 포함된 정보통신 및 방송이 4% 상승한 영향이 컸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데일리 2025-10-22 06:01:13 oid: 018, aid: 0006143592
기사 본문

9월 생산자물가 전월대비 0.4% 상승 “하계 전기요금 누진 완화 종료” 햅쌀 본격 출하 전, 상추·쇠고기 물가도 상승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의 생산자물가지수가 반등했다. SK텔레콤의 통신비 반값 할인과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세 완화 효과가 소멸된 영향이다. 여기에 쌀, 상추, 쇠고기 등 먹거리 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생산자물가를 끌어올렸다. 사진=뉴스1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 100)로 전월(120.11)에 비해 0.4% 상승했다. 전년동월(119.16)대비로는 1.2% 상승하며 전월(0.6%)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8월 하락(-0.1%)에서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한 것이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으로, 품목마다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반등한 이유는 SKT의 통신비 반값 할인이 종료되고, 주택용 전력이 오른 영향이 컸다....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2 06:00:00 oid: 277, aid: 0005667680
기사 본문

전월 통신 요금 할인·주택 전력요금 누진 구간 완화 기저효과 작용 일시 영향 통신 서비스·주택용 전력 제외 시 0.1% 상승 그쳐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한 달 만에 반등했다. 전월 SK텔레콤의 전체 가입자 통신 요금 50% 할인 기저 효과와, 여름 누진 구간 완화 적용을 끝낸 주택용 전력 요금 등의 영향을 받았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100)로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전력 등이 오르며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2% 오르며 상승 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이 생산자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주택용 전력(14.4%)과 산업용 도시가스(5.8%) 등이 올라 전월 대비 1.1% 올랐다. 이문희 한은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 주택용전력 요금은 매년 7~8월 하계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2 06:00:00 oid: 008, aid: 0005266282
기사 본문

9월 생산자물가지수 전월 대비 0.4% 상승 쌀·돼지고기 등 농축산물 가격 오름세도 지속 쌀값이 급등하고 있는 1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쌀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1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전월 대비 0.4% 올랐다. 이동통신서비스와 주택용전력 요금의 한시적 인하가 종료된 영향이다. 쌀과 상추, 돼지고기 등 농축산물 가격 오름세도 지속됐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4% 오른 120.54(2020=100)을 기록했다. 한 달 만에 상승 전환이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2% 올랐다. 생산자물가는 소비재·자본재뿐 아니라 기업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원재료·중간재 등까지 측정한 물가지수다.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지표 역할을 한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축산물(+2.0%)과 농산물(+0.5%)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0.4% 올랐다. △쌀(+4.7...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