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4.7%↑·상추 38.9%↑…9월 생산자물가 반등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통시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0.4% 올라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 오늘(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 수준 100)로 전월보다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8월 SK텔레콤 요금 인하 효과에 0.1% 하락했던 지수는 지난달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품목별 등락률을 보면 축산물(2.0%), 농산물(0.5%)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0.4% 높아졌습니다. 공산품은 화학제품(0.5%), 1차금속제품(0.7%)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2% 상승했습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주택용전력(14.4%)과 산업용도시가스(5.8%)가 오르면서 1.1% 뛰었습니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4.0%)와 금융및보험서비스(1.4%) 등을 중심으로 0.4% 올랐습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쌀(4.7%), 상추(38.9%), 쇠고기(6.9%), 돼지고기(3.3%) 등의 상승 폭이 컸습니다. 이문희 한국은행 ...
기사 본문
한은, 9월 생산자물가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100)로 전월(120.11)보다 0.4% 올랐다.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채소를 구매하고 있다. /더팩트 DB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상추와 돼지고기, 쌀 등 농·축산물 물가가 오른 탓이다. SK텔레콤과 주택용 전력 요금 정상화도 작용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100)로 전월(120.11)보다 0.4% 올랐다. 8월(-0.1%) 이후 한달 만에 내림세다. 8월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축산물(2.0%) 및 농산물(0.5%) 등이 오른 영향이다. 쌀과 상추는 전월 대비 각각 4.7%, 38.9% 올랐고, 쇠고기와 돼지고기도 6.9%, 3.3% 상승했다. 다만 기타어류 등 수산물은 4.0% 하락했다. 이문희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쌀은 2024년 생산량 감소에 아직 햅쌀이 본격 출하되지 못...
기사 본문
[앵커] 전체적인 물가 상승세도 보겠습니다.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생산자물가가 한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그런데 특히나 최근 소비자 체감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먹거리 물가가 또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이민후 기자, 특히 상추가 불안하던데, 눈에 띄게 오른 품목들 전해주시죠. [기자] 지난달 생산자 물가지수 중 농림수산품이 한 달 전인 8월보다 0.4% 올랐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쉽게 말해 출하와 도매 단계의 가격 변동을 지수화한 건데요. 농림수산품이 오른 이유는 지난달 명절과 최근 이상 기후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최근 잦은 가을비와 출하 지연으로 농산물 중 상추 가격은 39%, 쌀 가격은 5% 가까이 올랐고요. 또 명절을 앞두고 수요가 몰리면서 소고기값이 7%, 돼지고기값이 3% 상승했습니다. 전기요금과 통신요금도 모두 올랐습니다. 여름철을 맞아 한시적으로 시행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 구간 조치가 지난달 종료되면서 주택용 전력(14.4%)이 크게 상승했고,...
기사 본문
9월 생산자물가 전월대비 0.4% 상승 이상기온·명절수요에 상추·쇠고기·돼지고기 올라 SKT 요금·주택용전력요금 정상화도 영향 이통통신·전력 요금 정상화 제외시 0.1% 올라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른 무더위와 기록적인 집중호우 등이 겹치며 농산물 가격도 불안정한 상태를 보이고 있는 30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적상추를 고르고 있다. 이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상추(적) 100g의 소매가격은 1,366원으로 전월 대비 41.5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7.30.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0.4% 올라 한 달만에 상승 전환했다. 이상 기후에 따른 상추와 쌀 등 가격 상승과 추석 연휴 쇠고기·돼지고기 수요 등이 반영됐다. 여기에 SK텔레콤과 주택용 전력 요금 정상화도 크게 작용했다. 한국은행은 요금 정상화 제외 시 생산자물가가 전월대비 0.1% 상승했을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