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주택 전력가 상승에…생산자물가 한 달 만에 오름세 전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월 대비 0.4%↑ 상추는 38.9% 뛰어 서울 한 대형마트에 여러 종류의 채소가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농축산물 및 주택용 전력 가격 상승으로 한 달 만에 오름세로 전환했다. SK텔레콤의 8월 통신요금 할인 등 일시적 요인도 기저효과로 작용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 수준 100)로 전월보다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지수는 6월(0.1%)과 7월(0.4%) 두 달 연속 오른 후 8월(-0.1%) SK텔레콤의 대규모 통신비 할인으로 감소했다가 지난달 다시 반등했다. 품목별로 보면 축산물(2.0%) 및 농산물(0.5%)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0.4% 높아졌다. 공산품은 음식료품(-0.4%)이 내렸으나 석탄및석유제품(0.7%) 등이 올라 0.2% 상승했다. 또 주택용전력(14.4%), 산업용 도시가스(5.8%)등이 크게 상승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이 1.1% 올랐다.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
기사 본문
한은, 9월 생산자물가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100)로 전월(120.11)보다 0.4% 올랐다.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채소를 구매하고 있다. /더팩트 DB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상추와 돼지고기, 쌀 등 농·축산물 물가가 오른 탓이다. SK텔레콤과 주택용 전력 요금 정상화도 작용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100)로 전월(120.11)보다 0.4% 올랐다. 8월(-0.1%) 이후 한달 만에 내림세다. 8월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축산물(2.0%) 및 농산물(0.5%) 등이 오른 영향이다. 쌀과 상추는 전월 대비 각각 4.7%, 38.9% 올랐고, 쇠고기와 돼지고기도 6.9%, 3.3% 상승했다. 다만 기타어류 등 수산물은 4.0% 하락했다. 이문희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쌀은 2024년 생산량 감소에 아직 햅쌀이 본격 출하되지 못...
기사 본문
9월 생산자물가 전월대비 0.4% 상승 이상기온·명절수요에 상추·쇠고기·돼지고기 올라 SKT 요금·주택용전력요금 정상화도 영향 이통통신·전력 요금 정상화 제외시 0.1% 올라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른 무더위와 기록적인 집중호우 등이 겹치며 농산물 가격도 불안정한 상태를 보이고 있는 30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적상추를 고르고 있다. 이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상추(적) 100g의 소매가격은 1,366원으로 전월 대비 41.5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7.30.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0.4% 올라 한 달만에 상승 전환했다. 이상 기후에 따른 상추와 쌀 등 가격 상승과 추석 연휴 쇠고기·돼지고기 수요 등이 반영됐다. 여기에 SK텔레콤과 주택용 전력 요금 정상화도 크게 작용했다. 한국은행은 요금 정상화 제외 시 생산자물가가 전월대비 0.1% 상승했을 것으...
기사 본문
전통시장. [연합뉴스] 상추와 돼지고기, 쌀 등 농·축산물 물가가 오르면서 생산자물가가 0.4% 상승했다. SK텔레콤의 8월 통신요금 할인,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 구간 완화 등 일시적 요인도 기저효과로 작용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 수준 100)로 전월보다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8월 SK텔레콤 요금 인하로 0.1% 하락했으나 지난달 상승 전환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축산물(2.0%), 농산물(0.5%)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0.4%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쌀(4.7%), 상추(38.9%), 쇠고기(6.9%), 돼지고기(3.3%)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쌀, 상추 등 채소류는 출하 시기 잦은 강우로 인해 수확과 출하가 늦어졌다”며 “쇠고기, 돼지고기는 명절 수요로 가격이 올랐다”고 말했다. 공산품은 화학제품(0.5%), 1차금속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