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000명 돌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9월 말 기준 5449명으로 2020년 말 대비 91% 증가 "글로벌 자산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리밸런싱"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국내 자산관리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삼성증권이 30억원 이상 고객 5000명(9월 말 기준)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삼성증권) 삼성증권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9월 말 기준 삼성증권의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는 5449명으로 2020년 말 대비 91% 증가했다. 특히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의 증가율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194%) △40대(184%) △20대(178%) △50대(147%) △60대(93%) △70대 이상(39%) 순으로 증가해 젊은 세대의 신규 유입이 초부유층 고객 수의 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부유층 고객의 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이들의 자산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은 2020년 말 23.0% 수준에서 2025년 9월 말 11.5%로 11.5%포인트 감소하며 투자 자산의 ...
기사 본문
2025 KCSI 우수기업(Five Star CS) 증권 디지털 인프라, 최고의 자산관리 역량을 갖춘 프라이빗뱅커(PB), 최적의 상품 솔루션 공급 능력 등 자산관리의 핵심 요소를 모두 갖춘 삼성증권(대표 박종문·사진)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발표한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조사에서 증권 부문 역대 20회 1위를 차지했다. 삼성증권의 금융소비자 보호는 고객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한다. 첫째, 전 고객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정기적으로 측정해 의견을 추적·분석한다. 분기별로 회사, PB, 비대면 상담, 콜센터, mPOP(MTS)에 대해 고객추천지수를 조사한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고객의 만족·불만족 사항을 상세히 조사한다. 이를 활용해 고객 관리, 서비스 및 소비자 보호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경영진에게 보고한다. 둘째, 고객의 작은 불편까지 세심하게 분석해 서비스 개선 및 경영 방향 수립 자료로 활용한다. 삼성증권 고객이라면 누구나 의견을 개진하도록 홈페이지 내 소비자보호광장을 운영한...
기사 본문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449명…5년 만에 91% 증가 /사진=삼성증권 삼성증권이 업계 최초로 초고액자산가(자산 30억원 이상) 고객이 5000명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달 말 기준 삼성증권 예탁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는 5449명으로 2020년 말 대비 91% 증가했다. 예탁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의 증가율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 194% △40대 184% △20대 178% △50대 147% △60대 93% △70대 이상 39%다. 젊은 세대의 신규 유입이 초고액자산가 고객 수의 증가를 주도했다. 초고액자산가의 자산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은 2020년 말 23.0% 수준에서 지난달 11.5%로 11.5%포인트 감소했다. 삼성증권은 초고액자산가들이 시장 변화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유동성을 투자자산으로 빠르게 리밸런싱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초고액자산가들은 주로 글로벌 자산 투자 비중을 늘렸다. 전체 자산에...
기사 본문
삼성증권, 30억 이상 고객 5천명 돌파 [삼성증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삼성증권은 국내 자산관리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업계 최초로 자사의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가 5천명을 넘어섰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증권은 지난 9월 말 기준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수가 2020년 말 대비 91% 증가한 5천449명으로 집계돼 '초고액자산가 5천 명 시대'를 열었다고 전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증가율이 194%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는 40대(184%), 20대(178%), 50대(147%), 60대(93%), 70대 이상(39%) 순으로 젊은 세대 신규 유입이 초부유층 고객 수 성장을 주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30억원 이상 고객의 자산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은 2020년 말 기준 23.0%에서 2025년 9월 말 기준 11.5%로 크게 낮아진 반면, 해외자산 비중은 같은 기간 12.6%에서 23.3%로 10.6%포인트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