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IRP 적립금 18조 넘어섰다…'금융권 1위'

2025년 10월 2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6개
수집 시간: 2025-10-22 11:25: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6개

한국경제 2025-10-22 09:39:10 oid: 015, aid: 0005200281
기사 본문

5년만에 13조 넘게 늘려 ETF 상품군 확장전략 주효 수수료 면제 문턱도 낮춰 신한은행 제공 신한은행의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원을 넘어섰다. 약 5년 만에 적립 규모를 세 배 이상 늘리며 국내 금융권에서 1위를 차지했다. IRP는 직장을 그만둘 때 받은 퇴직금이나 개인 자금을 스스로 적립·운용하는 퇴직연금이다. 신한은행은 지난 3분기 말 IRP 적립금이 18조2763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2020년(약 5조2000억원) 이후 적립 규모를 13조원 이상 불리며 국민은행(18조1676억원)을 제치고 금융권 1위로 도약했다. 개인 고객의 관심이 늘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군을 대폭 확장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현재 신한은행 퇴직연금 계좌에서 거래 가능한 ETF 종류는 216개로 국내 은행 중 가장 많다. 이 은행은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말 8300억원이던 퇴직연금 ETF 잔액을 2조5763억원(20일 기준)까지 늘렸다. 신한은행은 투자상품 다변화와...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데일리 2025-10-22 10:55:13 oid: 138, aid: 0002207477
기사 본문

ⓒ신한은행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신한은행은 2025년 3분기 기준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2763억원을 기록하며 모든 금융업권에서 1위에 올랐다고 22일 밝혔다. 2020년 5조2천억원 수준이던 적립금이 5년만에 13조원 이상 증가한 것이다. 고객 신뢰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세를 입증했다. 특히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 잔액은 2024년 말 8300억원에서 올해 8월 2조원을 돌파하며 2배 이상 성장했다. 같은 기간 ETF 잔액이 1조원 이상 증가한 은행은 신한은행이 유일하다. 신한은행은 현재 은행권 최다인 총 216종의 ETF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SOL 나의 퇴직연금’ 서비스 개편을 통해 ETF 거래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 점이 성장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신한은행은 IRP 성장을 함께 이끌어준 고객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IRP 땡큐 페스티벌’ 이벤트를 오는 2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 동안 IRP 계좌에 입금한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2 10:23:33 oid: 008, aid: 0005266433
기사 본문

/사진제공=신한은행 신한은행이 2025년 3분기 기준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2763억원을 기록하며 전업권 1위에 올랐다고 22일 밝혔다. 2020년 5조 2000억원 수준이던 적립금이 5년만에 13조원 이상 증가한 것이다. 특히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 잔액은 2024년말 8300억원에서 올해 8월 2조원을 돌파하며 2배 이상 성장했다. 같은 기간 ETF 잔액이 1조원 이상 증가한 은행은 신한은행이 유일하다. 신한은행은 현재 은행권 최다인 총 216종의 ETF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SOL 나의 퇴직연금' 서비스 개편을 통해 ETF 거래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신한은행은 IRP 성장을 함께 이끌어준 고객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IRP 땡큐 페스티벌' 이벤트를 오는 22일부터 다음달 30일까지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 동안 IRP 계좌에 입금한 고객 중 3500명을 추첨해 백화점 상품권, 커피 기프티콘, 마이신한포인트를 제공하며 이 중 1000명의 고객에게...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2 10:02:14 oid: 008, aid: 0005266407
기사 본문

/사진제공=하나은행 하나은행이 2025년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2025년 9월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 1083억원으로, IRP 2조 6583억원과 확정기여형(DC) 1조 1586억원 증가에 힘입어 전년말 대비 3조 8349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전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도 매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 아울러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8월부터 연금 전문 컨설턴트가 상담 전용 차량과 함께 손님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로 직접 찾아가는 '움직이는 연금 더드림 라운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원거리 소재 퇴직연금 고객에게 전문적인 대...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2 08:57:02 oid: 277, aid: 0005667779
기사 본문

2024년말 대비 적립금 3.83조 증가 2023년부터 2년 연속 전 금융권 적립금 증가 1위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2025년 9월 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 1083억원으로, IRP 2조 6583억원과 확정기여형(DC) 1조 1586억원 증가에 힘입어 전년 말 대비 3조 8349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전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도 매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 이와 더불어,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했다. 이러한 꾸준한 성과는 대면과 비대면을 아우르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손님 맞춤형 연금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의 결과라는 것이 하나은행 측의 설명이다....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21 17:58:23 oid: 015, aid: 0005200080
기사 본문

농업인 퇴직연금 연구 용역 청년 농업인 대상 우선 적용 李대통령도 대선공약으로 약속 농민의 노후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농업인 퇴직연금’ 도입이 추진된다. 퇴직연금(직장인)과 노란우산공제(자영업자) 같은 ‘노후 안전망’을 농업 분야에 구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21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농업인 퇴직연금 도입 방안’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퇴직연금제도와 소상공인이 가입하는 노란우산공제회처럼 농업인을 위한 퇴직금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다. 농식품부는 용역 결과를 기반으로 내년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관련 절차가 원활히 진행되면 2027년부터 농업인 퇴직연금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인 노후 소득 보장 제도가 불충분한 만큼 은퇴 후 기대소득이 낮다”며 “국민연금·기초연금 등 공적연금 부족분을 보충할 노후 소득 보장제도를 만들기 위해 용역을 발주했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22 09:56:12 oid: 374, aid: 0000469841
기사 본문

[신한은행은 올해 3분기 기준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2천763억원을 기록하며 전업권 1위에 올랐다.(자료 :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올해 3분기 기준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2천763억원을 기록하며 전업권 1위에 올랐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0년 5조2천억원 수준이던 적립금이 5년 만에 13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고객 신뢰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세를 입증했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 잔액은 지난해 말 8천300억원에서 올해 8월 2조원을 돌파하며 2배 이상 성장했습니다. 같은 기간 ETF 잔액이 1조원 이상 증가한 은행은 신한은행이 유일하다는 게 신한은행의 설명입니다. 신한은행은 현재 은행권 최다인 총 216종의 ETF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SOL 나의 퇴직연금' 서비스 개편을 통해 ETF 거래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 점이 성장의 주된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고객 ...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22 10:51:44 oid: 029, aid: 0002988571
기사 본문

[하나은행 제공] 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9월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1083억원으로, 개인형퇴직연금(IRP) 2조6583억원과 확정기여형(DC) 1조1586억원 증가에 힘입어 전년말 대비 3조8349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전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에도 매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며, ‘퇴직연금 1등 은행’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올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하며 퇴직연금 명가로서 신뢰와 전문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러한 꾸준한 성과는 대면과 비대면을 아우르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손님 맞춤형 연금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의 결과다. 하나은행은 지난 8월부터 연금 전문...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2 15:36:08 oid: 421, aid: 0008555574
기사 본문

(신한은행 제공)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퇴직연금사업자 국민은행이 DC형 적립금이 15조 원을 넘어서며 전 금융권 1위를 달성했다. 22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공시에 따르면 3분기 말 기준 국민은행은 DC형 적립금 15조 원을 넘어섰다. 전체 사업자 중 DC형 적립금 규모 1위 지위를 지난 2010년부터 지금까지 유지 중이다. 3분기 말 DC 1년 원리금비보장형 수익률은 15.38%를 기록해 불확실성이 높았던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수익률 성과를 실현했다. 신한은행은 개인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 2763억 원을 기록해 전업권 1위에 올랐다. 지난 2020년 5조 2000억 원 수준이던 적립금이 5년 만에 13조 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고객 신뢰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세를 입증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고객 중심의 연금 자산관리 체계와 디지털 혁신이 IRP 적립금 1위의 성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평생 든든한 연금 메이트'로서 고객이 믿고 맡길 수 있는 ...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21 17:55:16 oid: 009, aid: 0005576641
기사 본문

실물이전 시행 1년 영향 분석 DB·DC형서 각 4000억 이탈 IRP서 가장 많은 7천억 빠져 증권보다 낮은 수익률이 원인 수수료인하·상품군 확대나서 작년 10월 31일부터 허용된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를 통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에서만 약 1년간 1조5210억원이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견고했던 은행 중심의 퇴직연금 시장 구도가 실물이전 제도 도입을 계기로 흔들리는 모습이다. 21일 5대 은행에 따르면 작년 10월 말 실물이전 제도가 시작된 이후 올해 9월 말까지 확정급여(DB)형과 확정기여(DC)형에서 각각 4471억원, 4010억원이 순유출되면서 총 8481억원이 증권사와 보험사 등으로 이동했다. 개인형 퇴직연금(IRP)에서도 약 1년간 6720억원이 빠져나갔다. 총 1조5000억원이 넘는 퇴직연금 자금이 5대 은행에서 증권사와 보험사 등으로 간 것이다. 퇴직연금 실물이전이란 기존에 보유한 퇴직연금계좌를 해지·매도 없이 타 금융사로 이전할...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0-22 10:54:18 oid: 629, aid: 0000436120
기사 본문

퇴직연금 ETF 잔액 2조원 돌파…은행권 최다 ETF 상품 라인업 보유 신한은행이 올해 3분기 기준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전업권에서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2025년 3분기 기준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2763억원을 기록하며 전업권 1위에 올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2020년 5조2000억원 수준이던 적립금이 5년만에 13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고객 신뢰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세를 입증했다고 신한은행은 평가했다. 특히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 잔액은 2024년말 8300억원에서 올해 8월 2조원을 돌파하며 2배 이상 성장했다. 같은 기간 ETF 잔액이 1조원 이상 증가한 은행은 신한은행이 유일하다. 신한은행은 현재 은행권 최다인 총 216종의 ETF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SOL 나의 퇴직연금' 서비스 개편을 통해 ETF 거래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 점이 성장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고객...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22 14:28:13 oid: 119, aid: 0003015360
기사 본문

2024년말 대비 적립금 3.83조 증가 IRP 2.66조·확정기여형(DC) 1.16조 증가에 힘입은 결과 하나은행이 2025년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하나은행 [데일리안 = 원나래 기자]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2025년 9월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1083억원으로, IRP 2조6583억원과 확정기여형(DC) 1조1586억원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말 대비 3조8349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전(全)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도 매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며, ‘퇴직연금 1등 은행’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2 10:34:14 oid: 016, aid: 0002545458
기사 본문

9월 말 44조원 적립…작년 말 대비 3.8조 늘어 [하나은행 제공]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하나은행은 은행권에서 올해 3분기 누적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올해 9월 말 기준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1083억원이었다. 개인형퇴직연금(IRP)과 확정기여형(DC)이 각각 2조6583억원, 1조1586억원 증가하면서 지난해 말보다 3조8349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모든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도 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했다. 하나은행은 이런 성과의 배경으로 대면과 비대면을 아우르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고객 맞춤형 연금자산관리 서비스가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하나은행은 지난 8월부터 연금 전문 컨설턴트가 상담 전용...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2 16:23:35 oid: 003, aid: 0013551317
기사 본문

퇴직연금 적립금 44.1조, 전년 말대비 3.8조 증가 [서울=뉴시스]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하나은행 제공). 2025.10.22.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하나은행은 올해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1083억원으로 집계됐다. 개인형(IRP) 2조 6583억원, 확정기여형(DC) 1조 1586억원 등 지난해 말 대비 총 3조 8349억원이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2024년 2년 연속 전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들어 매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고 있다. 올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했다. 하나은행은...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2 16:44:19 oid: 014, aid: 0005423114
기사 본문

신한은행 제공 [파이낸셜뉴스] 신한은행의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원을 돌파했다. 약 5년 만에 적립 규모를 세 배 이상 늘리며 국내 금융권에서 1위를 차지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3·4분기 말 IRP 적립금이 18조2763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2020년(약 5조2000억원) 이후 적립 규모를 13조원 이상 불리며 금융권 1위로 도약했다. IRP는 직장을 그만둘 때 받은 퇴직금이나 개인 자금을 스스로 적립·운용하는 퇴직연금이다. 개인 고객의 관심이 늘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군을 대폭 확장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현재 신한은행 퇴직연금 계좌에서 거래 가능한 ETF 종류는 216개로 국내 은행 중 가장 많다. 신한은행은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말 8300억원이던 퇴직연금 ETF 잔액을 2조5763억원(20일 기준)까지 늘렸다. 신한은행은 투자상품 다변화와 함께 공격적인 영업전략을 통해 IRP 고객을 늘려갈 방침이다. 다음달부터 비대면으로 IRP에 가입...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0-22 10:01:14 oid: 030, aid: 0003361355
기사 본문

신한은행 신한은행(행장 정상혁)은 2025년 3분기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이 18조2763억원을 기록해 전업권 1위에 올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2020년 5조2000억원 수준이던 적립금이 5년만에 13조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 잔액은 2024년말 8300억원에서 올해 8월 2조원을 돌파하며 2배 이상 성장했다. 같은 기간 ETF 잔액이 1조원 이상 증가한 은행은 신한은행이 유일하다. 신한은행은 현재 은행권 최다인 총 216종 ETF 라인업을 보유하고, 'SOL 나의 퇴직연금' 서비스 개편을 통해 ETF 거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신한은행은 고객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IRP 땡큐 페스티벌' 이벤트를 오는 2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 동안 IRP 계좌에 입금한 고객 중 3500명을 추첨해 다양한 경품을 제공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고객 중심 연금 자산관리 체계와 디지털 혁신이 IRP 적립금 1위의 성과로 이어졌다...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