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왕세자 내달 17~19일 방미…안보협정 체결 논의할 듯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 <자료 사진>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다음 달 17~19일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21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사우디 정부에 정통한 소식통은 왕세자가 11월 17일 워싱턴에 도착해 이튿날 트럼프 대통령과 정치, 경제, 안보 관련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함마드 왕세자의 미국 방문은 2018년 사우디 정보요원들이 이스탄불 주재 사우디 총영사관에서 반체제 언론인이자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였던 자말 카슈끄지를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한 사건 이후 처음이다. 당시 사건은 국제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2021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왕세자가 해당 작전을 승인했다는 미 정보당국의 보고서를 기밀 해제한 바 있다. 사우디 정부는 이 같은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일부 언론 보도...
기사 본문
11월 17일~19일 방미…18일 트럼프와 회담 2018년 카슈끄지 사건 후 첫 미국 방문 사우디는 '이스라엘 인정' 가능성 [리야드=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지난 5월 14일(현지 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걸프협력회의(GCC) 정상회의에 함께 참석해 GCC 정상들과 단체 사진 촬영장으로 향하고 있다. 2025.10.22. [서울=뉴시스]신정원 기자 = 사우디아라비아의 실질적인 통치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내달 사흘간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라고 AFP통신이 21일(현지 시간) 보도헀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은 빈 살만 왕세자가 11월 17일 미국에 도착한 뒤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과 정치, 경제, 안보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빈 살만 왕세자의 방문은 2018년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 이후 처음이다. 이 사건은 워싱턴포스트(WP) 칼럼리스트인 카슈끄지가 튀르키예 이스...
기사 본문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AFP 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다음 달 17일부터 19일까지 미국을 방문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동도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진 빈 살만 왕세자가 미국과의 방위조약을 체결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21일(현지시간) AFP 통신은 빈 살만 왕세자의 미국 방문 계획 소식을 전했다. 빈 살만 왕세자의 이번 방미는 트럼프 행정부 1기 때였던 2018년 이후 처음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도 최근 빈 살만 왕세자의 미국 방문을 계기로 사우디와 미국이 군사·정보 협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방위조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사우디는 오래전부터 미국과 방위조약 체결을 추진해왔다.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절에도 이스라엘과 관계정상화를 포함한 논의가 수개월간 이뤄지다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 남...
기사 본문
KOTRA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수출활성화 사업’ 일환으로 19일부터 3일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2025 사우디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데일리안 = 김성웅 기자]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이 사막 국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농업 혁신 해법으로 주목받았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수출활성화 사업’ 일환으로 19일부터 3일간 사우디 리야드에서 ‘2025 사우디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 국내 9개사가 참가해 사우디 바이어·국책 연구기관과 수출 및 기술협력 상담을 진행하고 ‘사우디 농업박람회’ 참관 기회도 가졌다. 사우디는 국토의 95%가 사막이며, 전체 식량 수요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한다. 식량 안보 강화를 위해 사우디 정부는 2020년 ‘국가농업전략 2030’을 발표하고 연구개발 및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를 기회로 KOTRA와 농식품부는 2023년부터 매년 사우디에서 K-스마트팜 로드쇼를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