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세대출 3분의 2 고소득층이 받았다…저소득층은 7.6%에 그쳐 [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및 주택단지들. (사진=연합뉴스)] 전세대출 제도의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전체 전세대출 잔액의 3분의 2가 고소득층에 집중된 가운데 저소득층 비중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습니다. 소득 상위 30%의 고소득층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등으로 차츰 늘다가 올해 1분기 말 64.6%로 크게 뛰었습니다. 이어 올해 2분기 들어 65%를 넘었습니다. 차주 수 기준으로도 2021년...
기사 본문
소득 하위 30% 저소득층은 10% 못 미쳐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사에 게시된 전세와 월세 매물 정보. /뉴시스 지난 ‘10·15′ 규제 전에 소득 구간별로 전세대출 규모를 따져 보니, 소득 상위 30%에 해당하는 고소득층이 전체의 3분의 2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작 대출 수요가 큰 무주택 저소득층은 전세살이를 위한 대출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전체 전세대출 잔액 가운데 소득 상위 30% 고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65.2%를 기록했다. 이 비율은 지난 2021년 1분기 말 61.2%, 작년 1분기 말 62.8% 등으로 차츰 늘다가 올해 1분기 말 64.6%에 크게 뛰었다. 이어 올해 2분기를 지나며 65%를 넘어선 것이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김영재 대출을 받은 인원을 뜻하는 차주 수 기준으로도 2021년 1분기 말 49.8%에서 작년 1분기 말 52...
기사 본문
올 2분기 고소득층 전세대출 잔액 비중 65.2%…4년새 4%p↑ 저소득층 차주 비중은 10% 밑돌아…전셋값 급등 영향 21일 서울시내 한 부동산 공인중개사 사무소에 전세 등 매물 광고가 붙어 있다. 2025.10.21/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세종=뉴스1) 전민 기자 = 전세대출의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전체 전세대출 잔액의 3분의 2가량이 소득 상위 30%인 고소득층에 집중된 반면, 소득 하위 30% 저소득층의 비중은 7%대까지 하락했다. 2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 '소득수준별 전세대출 비중'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기준 고소득 차주가 받은 전세대출 잔액은 전체의 65.2%를 차지했다. 고소득층의 전세대출 잔액 비중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 2021년 1분기 61.2%였던 비중은 2023년 1분기 62.4%, 202...
기사 본문
소득 상위 30%가 전세대출 잔액 65.2% 차지 차주 수로도 2021년 49.8%→ 올해 2분기 54.6% 박성훈 의원 "부동산 규제로 실소유자가 피해" 전세대출 안에서도 고스득층과 저소득층의 차이가 점점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소득 상위 30%의 고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습니다. 고소득층 비중은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등으로 차츰 늘다가 올해 1분기 말 64.6%로 크게 뛰었고, 올해 2분기 65%를 넘었습니다. 차주 수 기준으로도 2021년 1분기 말 49.8%로 절반 이하였으나, 2022년 1분기 말 50.9%, 2023년 1분기 말 51.8%, 2024년 1분기 말 52.3%, 올해 1분기 말 54.0% 등으로 비중이 확대됐고, 올해 2분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