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3분기 영업익 3010억 '역대 최대'…매출도 1조 넘겼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램시마SC 등 고마진 제품 호조 연매출 목표 달성 '청신호' 셀트리온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처음으로 3000억원을 넘어섰다. 매출도 1조원을 넘겨 역대 3분기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마진율 높은 제품의 판매 비중이 가파르게 높아지면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고 업체 측은 평가했다. 셀트리온은 3분기 연결 기준 잠정실적으로 매출 1조260억원, 영업이익 3010억원을 기록했다고 21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분기 통틀어 역대 최대다. 매출은 3분기 기준으로 가장 컸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16.3%, 영업이익은 44.9%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29.3%로, 전년 동기(23.6%) 대비 뚜렷하게 실적이 개선됐다. 수익성이 좋은 신제품 판매가 늘며 실적을 끌어올렸다.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정맥주사를 피하주사로 개발한 램시마SC와 자가면역질환제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유플라이마, 스테키마, 베그젤마 등 고마진 제품이 3분기 매출의 54%를 ...
기사 본문
올해 3분기 매출원가율, 합병 이전보다 4%P 낮아진 39% 낮아진 매출원가율 통해 수익성 개선 및 추가 주주환원 계획 셀트리온이 올해 3분기에 합병 이전보다 낮은 매출원가율을 기록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합병 과정에서 겪었던 일시적인 매출원가율 상승 부담을 털어낸 모양새다. 낮은 매출원가율을 통해 향후 수익성 상승과 시장 지배력 확대 가능성이 점쳐진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올해 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9%P 낮아진 39%의 매출원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로 이전한 2017년 이후부터 합병 이전까지의 평균 매출원가율인 43%보다 크게 낮은 수치다. 셀트리온은 2023년 합병 이후 높은 매출원가율에 발목이 잡혀 있었다. 합병 이전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평균 매출원가율이 약 76%에 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합병 후 시간이 지나며 셀트리온헬스케어가 가지고 있던 고원가 재고가 상당 부분 소진되며 문제가 해소되는 흐름이다. 수치 변화는 이러한 흐름을...
기사 본문
셀트리온 CI / 이미지 제작 = 김나영 기자 셀트리온이 1조원대 매출액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갈아치웠다. 외형만 보면 단일 분기 기준 처음으로 '1조 클럽'에 안착했다는 사실이 눈에 띄지만 이번 실적에서 주목할 건 따로 있다. 합병 이후 처음으로 30%대로 회복한 원가율이다. 합병 2년, '체질 개선' 이제부터 셀트리온 최근 5개 분기 실적 추이 / 자료 = 공시 셀트리온은 21일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1조260억원, 영업이익 3010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각각 16.3%, 44.9% 오른 수치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규모다. 회사가 분기 기준 매출 1조원을 넘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수익성 지표 개선이 두드러진다. 회사의 올 3분기 영업이익률은 29.3%으로 1년 전보다 5.7%포인트(p) 오르며 30%대 진입을 목전에 뒀다. 이번 수익 회복의 핵심은 매출원가율 정상화다. 셀트리온의 올 3분기 원가율은 3...
기사 본문
"공장 인수 후 목표주가 재산출 예정" 셀트리온 로고. 사진 제공=셀트리온 [서울경제] 셀트리온(068270) 이 3분기 호실적을 낸 가운데 미국 공장 인수가 향후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DB증권은 ‘셀트리온, 의미있는 매출원가율 개선’ 보고서를 통해 “셀트리온 미국 직판 성과는 짐펜트라보다 미국 공장 인수와 함께 좀더 장기적인 시각으로 평가가 필요하다”며 “목표주가를 미국공장 인수 이후 추정치 변경으로 재산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 목표주가는 기존과 동일한 25만 원을 유지했다. 셀트리온의 3분기 잠정 실적은 매출액 1조 260억원(전년 동기 대비 16.3%), 영업이익은 3010억원(+44.9%)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시장기 대치 대비 10.4% 하회했다. 신규제품의 약진으로 바이오제품 매출 전년 동기 대비 18.3% 성장한 반면 논-바이오매출은 다케다 프라이머리케어 사업권 매각으로 5.8% 감소한 영향이다. 수익의 신규제품 약진은 매출총이익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