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3분기 영업익 3763억…비용 증가에 전년비 39%↓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은 올해 3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한 3763억원을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4조85억원으로 전년 대비 6% 줄었고 순이익은 67% 감소한 918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공급 증대 및 가격 경쟁 심화로 매출이 줄었다는 게 대한항공 측의 설명이다. 해당 기간 연료비는 감소했으나 감가상각비, 정비비, 공항/화객비 등 상승으로 영업비용 전반 증가하면서 영업이익도 줄었다. 3분기 여객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62억원 감소한 2조4211억원을 기록했다. 통상 3분기는 전통적인 여객 성수기지만 미국 입국 규정 강화 등 변수가 발생하는 한편 추석연휴 이연으로 매출이 다소 감소했다. 3분기 화물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31억원 감소한 1조667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관세 리스크 확대로 항공화물시장 성장세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국가별 상호 관세 변경 및 수요 변동에 대응한 탄력적 노선 운영으로 안정적 수익...
기사 본문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만1000원 유지 [편집자주] 머니S 증권전문기자들이 매일 아침 쏟아지는 증권사 리포트 중에서 가장 알찬 리포트의 핵심을 요약해 제공하는 '아침밥'을 통해 든든하게 성공투자를 시작하세요. 대한항공의 3분기 영업이익은 국제여객수요 감소요인이 많았지만 전분기와 유사한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선방했다고 신영증권은 평가했다./사진=대한항공 신영증권은 대한항공에 대해 국제여객수요 감소요인이 많았지만 전분기와 유사한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선방했고, 4분기 불리한 외부영업환경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1000원을 유지하기로 했다. 대한항공의 3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4조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 감소했다. 여객수익은 7.5% 감소, 화물수익은 4.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7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2% 감소했으나 전분기 영업이익 3990억원과는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유가하락과 소모량 감소로 연료비가 13...
기사 본문
대한항공 B777-300ER 항공기./사진제공=대한항공 유진투자증권은 대한항공이 3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4분기에는 부진 요인을 만회하며 상승 여력을 보일 수 있다고 22일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5000원을 유지했다. 양승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별도 기준 대한항공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4조85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9% 감소한 3763억원으로 영업이익 추정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양 연구원은 "여객 부문에서 10월 추석 연휴로 수요가 집중되면서 성수기 3분기 수요가 상대적으로 약했다"며 "미국의 입국 규정 강화와 아태 항공사 공급 증가로 주력인 미주 실적이 부진했다"고 말했다. 다만 10월에는 기존 부진 요인들을 만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프리미엄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고 화물 사업도 3분기 수요와 운임 모두 견조했다"며 "4분기는 계절적 성수기로 4분기 이후 공정위의 운임 상승 제한 조치가 해제...
기사 본문
대한항공이 올해 3분기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을 기록했다. 여객 수요는 회복세를 보였지만, 치열해진 항공권 가격 경쟁과 고정비 부담 증가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대한항공은 21일 공시를 통해 3분기 별도 기준 매출 4조85억원, 영업이익 3763억원, 당기순이익 91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2323억원), 영업이익은 39%(2423억원) 각가 줄었다. 신재민 기자 대한항공은 “글로벌 공급 확대와 항공권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여객 사업 매출이 전년보다 감소했다”며 “연료비는 소폭 하락했지만 감가상각비, 정비비, 공항 이용료 등 고정비가 상승하면서 전체 영업비용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여객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62억원 감소한 2조4211억원에 그쳤다. 전통적인 성수기였던 3분기였지만, 미국의 입국 규정 강화와 추석 연휴(10월 초) 효과로 여객 수요가 4분기로 밀린 영향이 컸다. 화물 부문도 부진했다. 미·중 무역 갈등 등으로 글로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