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유보다 낫다” 소기름 삼양라면 재등장…‘우지 파동’ 36년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963년 출시된 국내 최초의 삼양 라면. 삼양식품 제공 삼양식품이 ‘우지’, 소기름을 쓴 라면을 36년 만에 다시 내놓는다. 과거의 ‘우지 파동’은 뒤로 하고 ‘불닭 신화’를 디딤돌로 새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21일 삼양식품은 다음 달 신제품 발표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 이름은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한 1963년을 기념해 ‘삼양라면 1963’으로 정해졌다. 삼양라면 1963은 국물 라면 최초로 우골, 즉 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채택했다. 또한 면을 우지, 소기름으로 튀겼다는 게 특징적이다. 면을 소기름으로 튀기면 고소한 풍미가 강하다. 과거 삼양라면은 1989년 라면에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이른바 ‘우지 파동’으로 시장 점유율이 급락한 바 있다. 당시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는 우지 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지만, 삼양식품 이미지는 큰 타격을 입었다. 우지 파동 이후 삼양식품은 우지를 쓰지 않고 팜유만 사용해왔다. 하지만 최근 우지에 관한 인...
기사 본문
삼양식품, '소기름'으로 튀긴 라면 출시 준비 별첨 우골 액상 스프로 국물도 보강해 삼양라면 브랜드 첫 '프리미엄급 라면' 그래픽=비즈워치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소기름으로 튀긴 라면)'을 다시 선보인다. 국내에 우지 라면이 다시 등장하는 건 1989년 우지 파동으로 명맥이 끊긴 이후 36년 만이다. 36년 만에 부활 21일 업계 등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신제품 '삼양라면1963'을 오는 11월 출시할 계획이다. 삼양라면1963의 가장 큰 특징은 '우지(牛脂)'로 면을 튀겼다는 점이다. 우지로 튀긴 라면은 풍미가 좋고 고소한 맛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1963년은 삼양라면이 출시된 해다. 삼양라면을 처음 만들었을 때처럼 우지로 면을 튀긴 제품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그렇다고 60년 전 라면을 그대로 가져온 건 아니다. 요즘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춰 업그레이드를 거쳤다. 삼양식품의 국물라면 중 처음으로 우골(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넣는다. 국물의 진한 맛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기사 본문
더스쿠프 투데이 이슈 삼양식품, 11월 '삼양라면 1963' 출시 1989년 '우지 파동' 이후 36년 만 공업용 우지 논란은 무죄로 결론났지만 단종됐다 이번에 프리미엄 라인으로 부활 불닭볶음면 이후 1세대 전성기 다시 쓸까 초창기 삼양라면 포장지 디자인 변화. [사진 | 삼양식품 홈페이지] 삼양라면은 우리나라 최초의 라면으로 1963년 9월에 출시됐다. 삼양식품은 자사 홈페이지에서 "창업주인 전중윤 회장은 60년대 초 우연히 남대문 시장을 지나가다가 사람들이 한 그릇에 5원하는 꿀꿀이죽을 사 먹기 위해 길게 줄을 선 것을 보고 서민들의 배고픔을 해결해야겠다고 결심했다"고 배경을 소개하고 있다. 힘겹게 보릿고개를 넘기던 당시 국민들이 처음으로 접한 라면은 어떤 맛이었을까. 초창기 삼양라면은 동물성 지방인 소기름(우지)에 튀겨 판매됐다. 그러다가 1989년 이른바 '우지 파동'을 겪은 뒤 식물성인 팜유로 전면 교체됐고, 원조 삼양라면은 단종됐다. 그럼에도 "과거 우지 라면의 풍미와 고...
기사 본문
1989년 단종됐던 삼양 라면 ‘삼양라면1963’으로 재출시 1963년 최초의 삼양라면. 삼양식품.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다가 1989년 ‘우지(소기름) 파동’으로 단종됐던 삼양라면이 ‘삼양라면 1963’으로 이름을 바꿔 36년 만에 돌아온다. 일반적으로 팜유로 면을 튀기는 것과 달리 이 제품은 과거 삼양라면처럼 소기름을 사용한다. 21일 삼양식품은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한 1963년을 기념해 신제품인 ‘삼양라면 1963’을 다음달 내놓을 예정이며 출시행사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1963은 삼양라면이 첫 출시됐던 1963년에서 따온 상품명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삼양라면 1963’은 면을 튀길 때 소기름을 사용하고 60여 년 전 라면을 요즘 소비자들 입맛에 맞게 개선했다. 삼양식품의 국물라면 가운데 처음으로 우골(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써 진한 국물 맛을 살렸다. 현재 삼양라면이라는 이름의 제품이 있지만 팜유가 사용되기 때문에 우지를 쓰는 원래 제품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