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왕세자 내달 17∼19일 방미"…방위조약 체결할 듯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난 5월(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다음 달 17∼19일 사흘간 미국을 방문한다고 AFP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사우디 정부 소식통은 이같이 전하며 무함마드 왕세자가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무함마드 왕세자의 미국 방문을 계기로 사우디와 미국은 군사·정보 협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방위조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전한 바 있다. 사우디는 오래전부터 미국과 방위조약 체결을 추진해왔다.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에도 이스라엘과 관계정상화를 포함한 논의가 수개월간 이뤄지다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2023년 10월 이스라엘 남부를 공격하고 가자지구 전쟁이 시작되면서 논의가 중단됐다. 사우디는 미국의 전통...
기사 본문
KOTRA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수출활성화 사업’ 일환으로 19일부터 3일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2025 사우디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데일리안 = 김성웅 기자]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이 사막 국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농업 혁신 해법으로 주목받았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수출활성화 사업’ 일환으로 19일부터 3일간 사우디 리야드에서 ‘2025 사우디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 국내 9개사가 참가해 사우디 바이어·국책 연구기관과 수출 및 기술협력 상담을 진행하고 ‘사우디 농업박람회’ 참관 기회도 가졌다. 사우디는 국토의 95%가 사막이며, 전체 식량 수요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한다. 식량 안보 강화를 위해 사우디 정부는 2020년 ‘국가농업전략 2030’을 발표하고 연구개발 및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를 기회로 KOTRA와 농식품부는 2023년부터 매년 사우디에서 K-스마트팜 로드쇼를 열...
기사 본문
코트라·농식품부, 사우디서 로드쇼 개최 국토 95% 사막…K스마트팜 기술 주목 리야드에 2000㎡ 실증온실 조성 착수 중동형 농업모델로 식량안보 해법 제시 [서울=뉴시스] 코트라와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수출활성화 사업' 일환으로 지난 19일부터 3일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2025 사우디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 사진은 한 참가 기업 관계자가 사우디 국책 농업 연구기관인 에스티다마 관계자들과 상담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코트라 제공) 2025.10.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한국형 스마트팜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막 위에서 새로운 농업 해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코트라(KOTRA)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수출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9일부터 3일간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2025 사우디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9개사가 참가해 현지 바이어 및 국책 연구기관과 기술 협력 ...
기사 본문
'식량 안보' 강화하는 중동 국가들 "K스마트팜 확산·협력 기회 활용"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이 사막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농업 혁신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이달 19일부터 사흘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2025 사우디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국내 9개사가 참가해 사우디 바이어·국책 연구기관과 수출·기술 협력 상담을 진행했다.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이달 19일부터 사흘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2025 사우디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했다. 참가 기업이 사우디 바이어와 수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코트라 사우디는 국토의 95%가 사막이며 전체 식량 수요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한다. 사우디 정부는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2020년 '국가농업전략 2030'을 발표했고 연구개발 및 투자를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