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연내 발의"·이찬진 "내년 1분기"…가상자산 2단계 법안 언제?

2025년 10월 2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2개
수집 시간: 2025-10-22 07:15:4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스1 2025-10-22 06:14:03 oid: 421, aid: 0008553743
기사 본문

이억원 "스테이블코인 규율 체계 포함한 2단계 법안, 연내 국회 제출할 것" 이찬진은 내년 1분기 언급…당국·국회 모두 '연내 마련'에 무게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0.21/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서울=뉴스1) 박현영 블록체인전문기자 =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스테이블코인 규율 체계를 포함한 '가상자산 2단계 법안'을 연내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내년 1분기를 거론하면서 법안 제출 시기에 대한 당국간 온도 차를 드러냈다. 21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금감원에 대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근 '캄보디아 사기 사태' 돈 세탁에 가상자산이 사용됐다는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적에 대해 가상자산 자금세탁방지(AML)를 위한 2단계 입법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가상자산 2단계 입법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 AML...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21 05:30:00 oid: 417, aid: 0001107740
기사 본문

[제도권 편입, 달라진 가상자산] 디지털자산 2단계 입법 시동… 여야 속도 내지만 업계는 냉담 한국 가상자산 시장이 새로운 변곡점을 맞고 있다.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빗썸라운지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시세가 표시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한국 가상자산 시장이 새로운 변곡점을 맞았다. 가상자산 시장의 시급한 위험 통제에 중점을 뒀던 1단계 입법을 넘어 시장 생태계 전반을 제도화할 포괄적인 2단계 입법, 일명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이 정치권에서 본격화된 것. 하지만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수가 1000만명을 돌파했음에도 거래 위축과 자금 해외 유출이 동시에 심화하면서 시장에서는 'K 엑소더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는 "입법 속도전보다 규제 해소와 제도 합리화가 우선"이라며 풀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고 지적한다. ━ 디지털자산 기본법 시대 개막…2단계 입법, '규제' 넘어 '혁신'으로 전환 ━ 2020년 '특정 금융 거래 정보의 보고·이용 등에 관한 법...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21 05:20:00 oid: 417, aid: 0001107738
기사 본문

[제도권 편입, 달라진 가상자산] 은행·증권·핀테크, 디지털자산 시장 본격 진입 은행-가상자산거래소 맞손, '윈-윈' 전략 통했다 디지털자산과 금융권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사진=챗 GPT 생성 이미지 디지털자산이 제도권에 편입되며 금융권도 스스로 문턱을 낮추고 경계선을 허물고 있다. 은행·증권·핀테크를 막론하고 디지털 자산 시장과 연결고리를 확대하며 금융 인프라로서의 코인 생태계를 본격화하는 흐름이다. 금융당국 지침에 따라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거래하려면 거래소 제휴 은행 계좌가 필요한 것도 대표적 전통 금융인 은행권도 이미 가상자산 시장과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21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거래소와 은행의 제휴는 양 사 모두에게 '윈-윈'이 된다는 분위기다. 국내 시장점유율 1위인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는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와 제휴를 맺고 있다. 빗썸은 KB국민은행, 코인원은 카카오뱅크, 코빗은 신한은행, 고팍스는 전북은행 계좌로 거래가 가능하다. 은행 입장에서는 안...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21 05:00:00 oid: 417, aid: 0001107733
기사 본문

[제도권 편입, 달라진 가상자산] '특금법→ 트래블룰→ 이용자보호법'… 가상자산, 제도권 안착 가속화 특금법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으로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이 가속 중이다.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불법과 투기'라는 오명을 벗고 국내 금융시스템 제도권으로 본격 편입되는 흐름을 보인다. 지난해 본격 발의된 '디지털자산 기본법' 시행을 시작으로 회계와 세제, 감독 체계가 잇따라 정비되면서 시장은 사각지대에서 정중앙으로 이동하고 있다. 2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기준 국내 가상자산사업자로 신고된 업체는 총 29개 사다. 2021년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금법) 시행 이후 국내에서 영업하는 가상자산사업자들은 기존 전통 은행, 금융사, 증권사 등과 같이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신고하고 은행 실명 확인 계좌와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갖춰야 영업이 가능하다. '특금법'은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의 출발점이라는 평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