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자물가 전월 대비 0.4%↑ 1개월 만에 반등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국은행, 9월 생산자물가 발표 통신 할인·전기 누진 완화 종료 상추 등 일부 먹거리 물가도 폭등 생산자물가 1개월 만에 재반등 SK텔레콤 통신비 할인 효과 등이 사라지면서 생산자물가가 1개월 만에 반등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직영점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SK텔레콤 통신비 할인과 전기요금 누진 구간 완화 효과가 소멸하고 쌀·상추 등 일부 농축산물 물가가 오르면서 생산자물가가 1개월 만에 다시 상승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0.4% 올랐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서는 1.2%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6월(0.1%)과 7월(0.4%) 두 달 연속 오르다 8월(-0.1%) 하락했으나 지난달 반등했다. 지난달 하락을 견인했던 SK텔레콤 통신비 할인 효과가 소멸한 탓이 컸다. SK텔레콤은 해킹 사태로 대규모 가입자 이탈이 벌어지자 지난 8월 한 달간 2000만명이 넘는 전...
기사 본문
9월 생산자물가 전월대비 0.4% 상승 이상기온·명절수요에 상추·쇠고기·돼지고기 올라 SKT 요금·주택용전력요금 정상화도 영향 이통통신·전력 요금 정상화 제외시 0.1% 올라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른 무더위와 기록적인 집중호우 등이 겹치며 농산물 가격도 불안정한 상태를 보이고 있는 30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적상추를 고르고 있다. 이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상추(적) 100g의 소매가격은 1,366원으로 전월 대비 41.5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7.30.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0.4% 올라 한 달만에 상승 전환했다. 이상 기후에 따른 상추와 쌀 등 가격 상승과 추석 연휴 쇠고기·돼지고기 수요 등이 반영됐다. 여기에 SK텔레콤과 주택용 전력 요금 정상화도 크게 작용했다. 한국은행은 요금 정상화 제외 시 생산자물가가 전월대비 0.1% 상승했을 것으...
기사 본문
9월 생산자물가 전월대비 0.4% 상승 “하계 전기요금 누진 완화 종료” 햅쌀 본격 출하 전, 상추·쇠고기 물가도 상승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의 생산자물가지수가 반등했다. SK텔레콤의 통신비 반값 할인과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세 완화 효과가 소멸된 영향이다. 여기에 쌀, 상추, 쇠고기 등 먹거리 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생산자물가를 끌어올렸다. 사진=뉴스1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 100)로 전월(120.11)에 비해 0.4% 상승했다. 전년동월(119.16)대비로는 1.2% 상승하며 전월(0.6%)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8월 하락(-0.1%)에서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한 것이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으로, 품목마다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반등한 이유는 SKT의 통신비 반값 할인이 종료되고, 주택용 전력이 오른 영향이 컸다....
기사 본문
전월 통신 요금 할인·주택 전력요금 누진 구간 완화 기저효과 작용 일시 영향 통신 서비스·주택용 전력 제외 시 0.1% 상승 그쳐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한 달 만에 반등했다. SK텔레콤의 전체 가입자 통신 요금 50% 할인 기저 효과에, 여름 누진 구간 완화 적용이 끝난 주택용 전력 요금 등의 영향을 받았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100)로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전력 등이 오르며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2% 오르며 상승 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이 생산자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주택용 전력(14.4%)과 산업용 도시가스(5.8%) 등이 올라 전월 대비 1.1% 올랐다. 이문희 한은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 주택용전력 요금은 매년 7~8월 하계 기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