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가상자산 독과점, 문제…레거시 금융이 대안 될 수도" [2025 국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가상자산 시장의 독과점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찬진 원장은 오늘(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가상자산 시장에서 독과점 폐해가 계속 나타나고 있다"며, "이 상태에서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금융이 전반적으로 제도화되는 것에 대해 심각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독과점을 방지하려면 제도권, '레거시 금융'이 적어도 (가상자산) 거래소 시장에 일정 부분 들어와야 하는 것이 아닌가, 제대로 된 경쟁체제가 갖춰진 상태에서 가상자산 시대가 제도화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이찬진 원장은 "레거시 금융이 가상자산에 관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보장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이찬진 원장은 "가상자산 자율규제 체계의 한계를 절실하게 느...
기사 본문
[제도권 편입, 달라진 가상자산] 디지털자산 2단계 입법 시동… 여야 속도 내지만 업계는 냉담 한국 가상자산 시장이 새로운 변곡점을 맞고 있다.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빗썸라운지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시세가 표시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한국 가상자산 시장이 새로운 변곡점을 맞았다. 가상자산 시장의 시급한 위험 통제에 중점을 뒀던 1단계 입법을 넘어 시장 생태계 전반을 제도화할 포괄적인 2단계 입법, 일명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이 정치권에서 본격화된 것. 하지만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수가 1000만명을 돌파했음에도 거래 위축과 자금 해외 유출이 동시에 심화하면서 시장에서는 'K 엑소더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는 "입법 속도전보다 규제 해소와 제도 합리화가 우선"이라며 풀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고 지적한다. ━ 디지털자산 기본법 시대 개막…2단계 입법, '규제' 넘어 '혁신'으로 전환 ━ 2020년 '특정 금융 거래 정보의 보고·이용 등에 관한 법...
기사 본문
[제도권 편입, 달라진 가상자산] 은행·증권·핀테크, 디지털자산 시장 본격 진입 은행-가상자산거래소 맞손, '윈-윈' 전략 통했다 디지털자산과 금융권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사진=챗 GPT 생성 이미지 디지털자산이 제도권에 편입되며 금융권도 스스로 문턱을 낮추고 경계선을 허물고 있다. 은행·증권·핀테크를 막론하고 디지털 자산 시장과 연결고리를 확대하며 금융 인프라로서의 코인 생태계를 본격화하는 흐름이다. 금융당국 지침에 따라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거래하려면 거래소 제휴 은행 계좌가 필요한 것도 대표적 전통 금융인 은행권도 이미 가상자산 시장과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21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거래소와 은행의 제휴는 양 사 모두에게 '윈-윈'이 된다는 분위기다. 국내 시장점유율 1위인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는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와 제휴를 맺고 있다. 빗썸은 KB국민은행, 코인원은 카카오뱅크, 코빗은 신한은행, 고팍스는 전북은행 계좌로 거래가 가능하다. 은행 입장에서는 안...
기사 본문
[제도권 편입, 달라진 가상자산] '특금법→ 트래블룰→ 이용자보호법'… 가상자산, 제도권 안착 가속화 특금법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으로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이 가속 중이다.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불법과 투기'라는 오명을 벗고 국내 금융시스템 제도권으로 본격 편입되는 흐름을 보인다. 지난해 본격 발의된 '디지털자산 기본법' 시행을 시작으로 회계와 세제, 감독 체계가 잇따라 정비되면서 시장은 사각지대에서 정중앙으로 이동하고 있다. 2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기준 국내 가상자산사업자로 신고된 업체는 총 29개 사다. 2021년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금법) 시행 이후 국내에서 영업하는 가상자산사업자들은 기존 전통 은행, 금융사, 증권사 등과 같이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신고하고 은행 실명 확인 계좌와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갖춰야 영업이 가능하다. '특금법'은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의 출발점이라는 평가...